한국패션산업연구원. 천연섬유만큼 부드러운 복합 신소재 개발

입력 2015-10-26 02:00:01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기업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기업'기관들과 함께 최근 천연섬유의 촉감을 내면서도 신축성이 면보다 2배 뛰어난 복합섬유 신소재를 개발했다.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제공

한국패션산업연구원(원장 김충환'이하 패션연)이 천연'합성섬유를 복합해 천연섬유만큼 부드럽고 합성섬유처럼 신축성이 뛰어난 신소재를 개발해 여성복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패션연은 글로벌 전문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6개 기업(금보섬유'휴비스'삼일방직'에스케이니트'앤디아이'프리앤메지스) 및 2개 연구기관(한국자카드연구소'한국섬유소재연구원)과 공동으로 연구해 이 같은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다.

공동 연구진은 폴리에스터의 일종인 PTT(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와 면 섬유를 복합한 신소재를 개발, 기존 면 섬유 대비 최대 2배의 신축성을 띠도록 했다. PTT란 나일론과 유사한 촉감을 내는 폴리에스터 원사의 일종이다. 신소재는 실 굵기가 균일하지 않고 마치 마직물처럼 군데군데가 굵은 '슬러브'(Slub) 효과를 내 천연섬유만큼 부드러운 촉감도 낸다.

성질이 서로 다른 천연섬유와 합성섬유를 함께 방적하면 길이 30㎜ 이상의 슬러브만 형성돼도 그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쉽게 끊어진다. 이 때문에 슬러브 길이를 20㎜ 이하로 제어하는 일이 중요하다. 연구 개발에 참가한 삼일방직은 PTT와 면 섬유를 혼합 방적할 때 슬러브 길이를 짧게 제어해 천연소재와 같은 표면 효과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패션연은 프리앤메지스와 컬러기획 및 의류 디자인 등 협업을 거쳐, 고감성 여성 패션 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여성복 시장을 주 타깃으로 본격 제품화를 앞두고 있다.

공동연구를 총괄한 금보섬유 이응보 상무는 "지난달 'LA 인터내셔널 텍스타일 쇼 2015 F/W'에 참가했을 당시 많은 바이어들이 신소재에 대해 인체 친화적인 감촉과 신축성을 함께 갖췄다고 평가했다"며 "앞으로 기능성과 표면 질감을 더욱 보완해 자라(ZARA)나 H&M 등 글로벌 SPA 브랜드의 여성복 바이어를 집중 공략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