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보험 상품 신고나 가격 제한 등 사전 규제를 없애는 대신 소비자보호 의무 등 사후 관리를 보다 강화해 국내 보험산업의 선진화를 앞당기겠다고 발표했다. 모든 보험상품을 소비자가 직접 인터넷에서 비교'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보험슈퍼마켓'도 허용한다. 금융위원회가 18일 발표한 '보험산업 경쟁력 강화 로드맵'의 핵심이다.
이번 로드맵은 보험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업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하지만 이 같은 낙관적 전망과 달리 보험업계의 체질 개선이나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선진화는 말처럼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많다.
지난 1993년 정부는 보험상품 가격 자유화를 선언했다. 22년이 흐른 현재 보험업계가 양적 성장에 비해 선진시장으로 발돋움하지 못한 이유는 부실한 제도나 규제 등 운용 탓도 있다. 하지만 보험업계의 지나친 몸집 키우기나 가격 경쟁, 낙후한 서비스 탓이 더 크다. 상품'서비스 등 질적 경쟁과 투명성은 소홀히 하면서 판매에만 열을 올린 결과다.
한국은 세계 8위의 보험 시장이다. 하지만 규제에 발목이 잡힌데다 보험업계가 저성장'고령화 등 환경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게다가 보험사마다 획일적인 상품으로 가입에만 치중한 나머지 보험료 지급을 둘러싼 분쟁이 끊이지 않는 등 소비자 불신이 커지면서 여태 후진성을 벗지 못하고 있다.
정부 방침대로 가격 제한이 풀리면 상품의 차별화는 가능하다. 보장성이 큰 고급 상품은 가격이 오르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품의 경우 덤핑 판매까지 나올 수 있다. 반면 가격 자유화에 따른 보험료 인상 우려도 크다. 당장 손해율이 138%에 이르는 실손의료보험이 내년에 30%가량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말로만 보험 시장 선진화를 외친다고 될 일이 아니다. 당국은 보험산업 환경개선이라는 미명하에 풀 것 다 풀어놓고 소비자만 골탕먹는 일이 없도록 사후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해야 한다. 무엇보다 보험업계가 또다시 상품'서비스 질 향상 없이 보험료 올리기에만 눈을 돌린다면 선진화는커녕 소비자에게만 불이익이 돌아갈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