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에게 맞는 자사고는? 대구지역 선발형 고교 선택 요령

입력 2015-10-19 01:00:06

특목·자사·특성화고 전기 선발…합격하면 일반고에 지원 못 해

요즘 고교입시는 대학입시 못지않게 복잡하다. 처음 고교 입학 과정을 접하는 학부모들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특수목적고, 자율형 사립고, 자율형 공립고, 일반고 등 다양한 유형의 고교가 있는 데다 입학 전형 과정도 여러 가지여서다. 고교 선택이 대학입시 준비와 직결된다는 이야기가 많으니 이 문제는 더욱 신경이 쓰이는 일이다. 대구 고입 전형과 대구 4개 자사고의 주요 선발 사항을 짚어봤다.

◆대구 고교, 어떻게 입학하나

대구 고교 입학 전형은 일단 원서 접수 시기에 따라 전기와 후기로 나뉜다. 대구일과학고와 대구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마이스터고 포함), 자율형 사립고, 특성화고(옛 전문계고)가 전기 고교이고, 일반고(자율형 공립고 포함)는 후기 고교다.

전기 고교에 합격한 경우 후기 고교에 지원할 수 없다. 전기 고교에 지원했다 불합격해도 다른 전기 고교에 지원하는 것도 금지된다. 다만 마이스터고(경북기계공고, 대구일마이스터고, 달성정보고)에 원서를 썼다 불합격한 경우 다른 특성화고에 다시 지원할 수 있다.

일반고와 자율형 공립고는 후기 고교다. 자공고는 '자율'이라는 이름이 붙은 탓에 자율형 사립고와 함께 묶이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사실 일반고로 분류하는 게 더 합리적이다. 이는 고교 다양화 시대에 갈수록 위기에 몰리고 있는 일반고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명분 아래 도입된 학교 유형이기 때문이다. 자공고는 기존 일반고보다 좀 더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높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여지를 준 곳이다. 대구 자공고는 모두 13개교다.

대구 일반고 경우 추첨 배정이 원칙이다. 기본적으로 2개 학군으로 나눠 신입생을 배정한다. 그래도 원하는 학교에 진학할 여지는 있다. 1단계에서 학군에 관계없이 학교별 모집 정원의 50%, 2단계에서 1단계 미배정자를 대상으로 거주지 학군 내에서 10%를 추첨 배정하는데 각 단계 추첨에 앞서 2개교씩 진학 희망 고교를 적는다. 3단계는 통학 거리 등을 기준으로 추첨 배정하는 방식이다.

학군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일반고에 갈 방법은 더 있다. 선지원 일반고나 중점과정 운영 학교에 지원하면 된다. 선지원 일반고 5곳 가운데 포산고는 자공고이기도 하다. 특정 과목에 대한 심화 교육을 실시하는 곳이 중점과정 운영 학교다. 경상고 등 5개교가 과학, 시지고와 경상여고가 수학, 신명고가 음악, 수성고 등 3개교가 미술, 대구고가 영어, 경화여고가 문예창작 중점과정을 운영한다.

매일신문교육문화센터 김기영 연구실장은 "자녀가 다닐 고교를 선택할 때 학부모들이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해당 고교의 대학 진학 실적보다 학업 성향, 적성과 선호 분야 등 자녀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한 뒤 학교 관련 정보와 비교, 검토하는 일"이라며 "무엇보다 자녀에게 잘 맞는 학교가 '가장 좋은 고교'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 4개 자사고 전형 이모저모

대구 자율형 사립고는 경신고, 경일여고, 계성고, 대건고 등 4곳이다. 이들 고교에 지원하면 전기 고교 중 다른 고교에 지원할 수 없다. 특목고와 자사고 간 이중 지원이 금지된다는 의미다. 자사고에 지원해 최종 합격한 경우 다른 전'후기 고교에 지원하지 못한다. 자사고에 입학한 신입생은 3개월이 지나야 대구 다른 일반고로 전학할 수 있다.

이들 고교의 입학 전형은 기본적으로 같다. 전형은 일반전형과 사회통합전형(기회균등전형과 사회다양성전형)으로 구분되는데 입학 정원의 20%는 사회통합전형으로 선발해야 한다. 또 사회통합전형의 60% 이상은 기회균등전형으로 선발하게 돼 있다. 기회균등전형 대상자는 기초생활수급권자나 그 자녀, 차상위 자활 대상자 가구의 학생, 한부모 가정 학생,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 중 중학교장이 추천한 학생 등이다. 국가보훈대상자나 그 자녀는 사회다양성전형 대상자다.

대구(경북 고령군 다산면 포함) 중학교 졸업 예정자, 대구에 거주하면서 중학교 졸업 또는 그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자사고에 지원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중학교 졸업 예정자와 졸업자(학력 인정자 포함)도 지원 가능하다. 대구혁신도시로 이전했거나 이전할 기관 종사자의 자녀도 관련 특별법에 따라 이들 학교에 원서를 쓸 수 있다.

4개 자사고는 특수목적고인 대구일과학고, 대구외국어고와 함께 신입생을 선발할 때 자기주도학습전형을 실시한다. 이 전형은 내신 성적에다 학생부, 자기소개서, 교사 추천서 등 서류 평가와 면접 과정을 더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것이다. 학교별 필기고사, 교과 지식 측정을 목적으로 한 전형이 금지되면서 도입된 전형 방식이다.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는 토플(TOEFL), 토익(TOEIC), 텝스(TEPS) 등 각종 어학 인증시험 점수와 한국어나 한자 등 능력시험 점수를 쓸 수 없다. 교내'외 각종 경시대회 입상 실적과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도 작성 금지 사항에 포함된다. 구체적인 직장 이름이나 직위, 소득 수준, 골프나 승마 등 고비용 취미 활동, 학교에서 주관하지 않는 각종 교과 관련 활동 등 부모(친'인척 포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암시하는 내용도 마찬가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