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박근혜 대통령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비난하고 이달 26일로 예정한 이산가족 상봉 무산을 위협했다. 박 대통령의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과 협력의 길로 나오라"는 주문을 문제 삼은 것이다.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담화를 통해 "외세를 등에 업고 흡수통일을 실현해 보려는 야망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이산가족 상봉도 살얼음장 같은 위태로운 상태"라며 "판이 완전히 깨질 수도 있다"고 으름장을 놨다.
박 대통령은 이번 연설에서 추가 도발까지 예고한 북한에 대한 경고의 수준을 크게 낮췄다. '도발 시 강력한 응징'을 천명하는 대신 "핵을 포기하면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북한이 경제를 개발하고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23분간 진행한 연설에서 가장 많이 언급했던 단어는 '평화'였다. 모두 30차례나 사용했다. '개발'이란 단어도 16차례 사용했다. 도발하려는 북에 대해 '채찍'보다 '당근'을 제시한 것이다.
그럼에도 북이 일방적으로 박 대통령의 유엔 연설을 왜곡'비난하고 나선 것은 터무니없다. 이산가족 상봉 무산을 위협한 것 역시 어리석다. 남북고위급 접촉 합의 사항이자 인도주의적 사안인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무산시킨다면 그들 스스로 믿을 수 없는 국가임을 다시 한 번 대내외에 천명하는 꼴에 다름 아니다.
북이 핵무기를 버리고 개혁과 개방을 통한 경제 건설에 나서라는 것이 이번에 70돌을 맞은 유엔 총회에서 전 세계가 북한에 던진 메시지였다. 유엔 산하의 많은 개발도상국이 핵과 미사일이 아닌 경제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한만이 핵과 미사일에 집착하는 유일한 국가다. 북은 핵개발이 아닌 경제개발을 통해 국민적 자존심을 회복해야 한다. '흡수통일' 운운하며 두려움에 떨 것이 아니라 개혁과 개방을 통해 국제사회의 변화와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훨씬 의미 있다.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를 적이 아닌 우호 세력으로 만들었을 때 정권도 유지할 수 있고 북한 주민들의 삶도 달라진다. 국제사회는 준비를 마쳤다. 이제 북한 정권만 변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