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암 재정비촉진사업서 조성 부지 제외…市 "기상대 기념공원 국비 확보에 총력"
옛 대구기상대(동구 신암동) 후적지 개발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대구시는 당초 올해 기상대 기념공원 조성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인근 지역 재정비촉진사업 일부가 무산되면서 국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구기상대가 현재 효목동 동촌유원지 내 부지로 옮겨간 건 2년 전인 2013년 9월 30일이다. 앞서 대구시는 신암재정비촉진사업과 연계할 목적으로 2010년 5월 고시를 통해 기상대 후적지(9천247㎡)에 사유지를 추가로 편입해 기념공원(1만3천975㎡)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지난해 6월 정부의 중앙투융자심사를 통과하면서 기념공원 조성 사업은 급물살을 탔다. 신암재정비촉진사업과 연계해 올해부터 2019년까지 439억원(국비 339억원, 시비 1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기존 건물은 기상과학기념관으로 활용하고, 각종 수목을 심어 도심 속 휴식공간을 만들기로 했다.
하지만 기념공원 조성 부지가 신암재정비촉진사업에서 제외되면서 이 같은 계획이 계속 미뤄지고 있다. 지난 7월 말 나온 '신암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에서 기념공원 조성 부지가 자리한 4'5구역은 3'7'9구역과 함께 '존치 구역'으로 분류돼 재정비촉진사업을 추진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재정비촉진사업에서 제외되면 사유지 매입을 위한 국비 확보가 쉽지 않게 된다.
기념공원 사업이 늦어지면서 옛 기상대 부지는 폐허로 방치되고 있다. 높다란 철문으로 막혀 있는 옛 대구기상대 주변에는 주민들이 갖다버린 쓰레기들이 방치되어 있으며 기상대 부지는 잡초 더미로 뒤덮여 있다. 또 건물 뒤쪽 테니스장으로 사용하던 곳 일부는 인근 주민이 만든 텃밭으로 변했다.
대구시는 4'5구역 제외와 관계없이 기상대 기념공원을 계속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계획보다 공원 조성이 늦어지고 있지만, 낙후된 도심의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서라도 공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구시 도시재생추진과 관계자는 "재정비촉진계획 변경과 상관없이 기념공원 조성을 위해 내년도 국비 확보에 나설 것"이라며 "무산된 4'5구역 재정비사업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기념공원은 꼭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