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 대운산 등 100여 본 발견…남부지방산림청 제거작업 나서
참나무 에이즈(AIDS)로 불리는 '시드름병'이 또다시 고개를 들면서 방재대책 수립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2004년 경기 성남에서 처음 발견돼 2007~2008년 경북을 비롯해 전국 61개 시군구에서 발생, 엄청난 면적의 참나무 군락지를 앗아갔다. 당시 2년 사이에 경북에서만도 300여ha의 참나무가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 같은 참나무시드름병이 올 들어 경남 울주 온양읍 대운산 등에서 또다시 나타나면서 남부지방산림청이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남부지방산림청은 오는 25일까지 남부권 참나무시들음병 피해지를 일제조사한 뒤 맞춤형방제를 하기로 했다.
특히 '치유의 숲'이 조성될 예정인 대운산에는 지금까지 56본이 참나무시드름병 피해로 인해 고사돼 제거작업과 훈증 등 방제에 나서기도 했다.
지금까지 참나무시드름병 고사목과 피해목은 100여 본 정도 조사됐으며, 오는 11월 말까지 고사목을 벌채한 뒤 훈증처리와 파쇄하기로 했다. 나무속에 월동하는 매개충을 근원적으로 방제하고 피해목에 대해서는 내년 5, 6월 이전에 끈끈이롤트랩이나 지상방제 등 맞춤형복합방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참나무시드름병은 신갈나무에서 주로 발병되며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이라는 벌레가 참나무에 구멍을 뚫고 서식, 산란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인 '라파렐라'가 침입해 증식함으로써 수관이 막혀 고사하게 된다.
남부지방산림청 관계자는 "참나무는 도토리를 제공해 주는 등 숲에서 역할이 크다"며 "붉게 시들고 매개충의 침입으로 인한 구멍과 목분이 있는 참나무를 발견할 경우 산림청 등 행정기관에 신고해달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