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안철수 긴급회동…'초계파 혁신기구' 구성엔 합의
새정치민주연합의 고질적 병폐인 계파 갈등을 풀 '초계파 혁신기구' 위원장에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거론되고 있다.
19일 문재인 대표와 안 전 대표는 긴급 회동을 갖고 문 대표가 제안한 초계파 혁신기구와 관련, 혁신위원회의 구성과 전권 보장에 뜻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문 대표가 안 전 대표에게 혁신기구 위원장직을 제안한 상황에서 혁신기구의 권한 보장 여부가 수락의 가장 큰 변수였다.
안 전 대표는 서울 시내 모처에서 문 대표와 30여 분간 회동한 후 기자들에게 보낸 입장자료에서 "당의 위기상황에 공감한다"며 "혁신위원회가 필요하다는 데에 (문 대표와) 뜻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안 전 대표는 아울러 당내 상황의 수습 및 혁신과 관련해서 추후 회동을 갖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안 전 대표는 위원장 수락 여부에 대해서는 확답을 하지 않았다.
혁신기구는 정치와 당 쇄신을 주도하는 새정치연합의 간판 기구가 될 전망이다. 친노 주류, 비노 비주류와 호남 대 비호남 간의 갈등을 풀고 당내 혁신을 이뤄 내년 총선 승리를 이끄는 조직이 된다.
안 전 대표로선 위원장직을 받아들일 땐 위기 속의 당을 구원하기 위한 결단을 내린 것이 돼 당으로선 안 전 대표에게 하나의 빚을 지게 된다. 당내 지분율이 올라갈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야권의 중진들이 대거 나서 당 쇄신에 박차를 가한다면 당 지지율 상승도 꾀할 수 있다.
안 전 대표로서는 문 대표와의 '협력적 경쟁 또는 동반자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비판에만 열을 올리는 비노 인사들과 차별화할 수 있다.
위원장 제안을 고사할 경우엔 위기를 외면했다는 비판을 각오해야 한다. 하지만 혁신기구 위원장에게 주어지는 권한이 어느 정도인지 정해지지 않은 속에서 안 전 대표도 쉽사리 받아들일 수는 없다. 실패할 경우 '쇄신 들러리'로 이미지를 구길 수 있다. 또 혁신 성과물을 내놓지 못할 때에는 '안철수 한계론'도 나올 수 있어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김부겸 전 최고위원이나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을 거론하고 있다. 김 전 최고위원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대구 민심잡기에 올인하고 있다.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사설] 이 대통령, 한가로이 폭탄주 만들어 마실 때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