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관수도원서 영인본 발견…독일자료 참고 한글로 제작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으로 된 양봉 교육 교재로 추정되는 '양봉요지'(養蜂要誌'사진) 영인본이 칠곡군 왜관읍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에서 발견됐다.
왜관수도원에 소장돼 있는 양봉요지는 독일인 쿠겔겐(Canisius Kugelgen'한국명 구걸근'具傑根'1884~1964) 신부가 선교사업의 하나로 양봉을 하면서 우리나라 양봉농민들의 교육을 위해 독일의 자료를 참고해 국문으로 제작한 교재다. 1918년 경성수사원(京城修士院)에서 등사기로 150부가 발행됐다. 원본은 독일에 소장돼 있다. 이 같은 내용은 2009년 왜관수도원이 번역'출간한 분도통사(芬道通史)에도 기록돼 있다.
구걸근 신부는 1911년 제2차 성베네딕도 수도회 한국 파견 선교사로서 4명의 독일 신부 및 1명의 수사와 함께 중국과 일본, 부산을 거쳐 서울 백동수도원에 왔다가 1954년 독일로 귀환했다. 구걸근이란 한국명은 자신의 독일 이름 음에서 땄다.
국문으로 된 양봉 관련 책자는 양봉요지보다 한 해 앞선 1917년 윤신영이 간행한 양봉지침서 실험양봉(實驗養蜂)이 있지만, 이 책은 초보 양봉인 교육 교재가 아닌 양봉 지침서다.
양봉요지는 세로 20.4㎝, 가로 13.2㎝이며 4정침으로 묶여 있고, 모두 40장이다. 표지에는 ABRISS BIENENZUCHT란 책이름과 저자명이 있고, 저자명 밑에 왜관수도원을 가리키는 O. S. B가 적혀 있다. 내용은 봉군 관리상 일반주의, 자연 분봉과 그에 대한 관리법 등 9부분이며, 관련 내용이 상세하게 설명돼 있다.
마지막 장에 "(책을 발간하는 목적은) 본소에서 강습한 것 중 매일 요긴한 것 몇 대목을 기록하여 잊어버리지 않게 하고, 그 외는 실습으로 한다"고 적고 있어 당시의 양봉교육이 이론과 실습이 병행됐음을 알 수 있다.
양봉요지를 현대어로 해제한 영남대 서종학(국어교육과) 교수는 "사용된 특이한 어휘 중 '고롭게' '헛쳐서' '구녁' '너머' '쏘치는' 등의 경상도 방언에 해당하는 것이 많고, 왜관수도원 박물관에 구걸근 신부가 벌을 살피는 사진이 보관돼 있는 점, 왜관수도원을 가리키는 O. S. B가 적혀 있는 것 등으로 미뤄 마지막 장에 나오는 '본소'는 1895년 설립된 왜관 가실성당일 확률이 높다"면서 "이로 미뤄 구 신부는 가실성당에 머물며 양봉요지를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백선기 칠곡군수는 "이번 문헌 발견을 계기로 칠곡 양봉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겠다"고 했다.
칠곡 이영욱 기자 hell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