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보고 결과 "최악 가뭄 나도 물 모자라지는 않을 것"
대구 취수원 이전을 둘러싼 논란 중 가장 핵심적인 항목은 정부의 용역보고서 결과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12일 '대구'경북권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 검토보고서'를 통해 취수원을 구미공단 상류로 이전해도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고 수질 영향도 거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구미시와 시민단체는 보고서를 '신뢰할 수 없다'며 반기를 들고 있다.
국토부는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한 결과 구미 해평 취수장 공동 이용과 구미 취수장 상류 강변여과수 개발 방식 2가지 방안이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구미시는 정부가 2011년 예비타당성 조사용역에서는 '타당성이 없다'고 밝힌 뒤 다시 '사업성이 있다'고 입장을 번복한 것은 신뢰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 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는 낙동강 수량 부족, 원수대금 인상으로 인한 대구 수도요금 인상 등을 문제로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취수원 관련 수질 문제에 대해 국토부 용역을 진행했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률 연구원은 구미시가 오해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2011년 당시 평가에 비용편익분석(B/C)이 낮게 나온 것은 '수량 부족'이 중요한 원인이었다"며 "하지만 이번 국토부의 연구에서는 '4대강 사업'으로 인해 수량이 늘어나 충분히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종 보고서를 만들기 이전 대구시와 구미시 관계자들이 참석한 중간 보고회를 열었고 검토도 했다. 지금 와서 보고서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는 대구지역 취수 용량의 70%에 해당하는 67만7천㎥(이하 일일 취수량)를 구미 상류에서 취수해도 구미 지역에 물 부족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수원 이전으로 인한 대구권의 공급 필요 수량은 2025년 기준 인구 감소와 1인 급수량 감소 추세를 반영해 대구시가 산정한 67만7천㎥에서 22만9천㎥가 감소한 44만8천㎥로 예측됐다.
구미시가 우려한 수량'수질 변화도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취수 대상 물량인 67만7천㎥(일일)를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취수원 이전에 따른 생활'공업'농업용수와 하천유지용수 모두 부족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됐다. 국토부는 물 부족량을 최대 가뭄 발생 시(1994~95년)를 기준으로 분석했다. 수질 역시 취수원 이전'이후 모두 구미보~강정고령보는 같은 수질 등급(좋음)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경석 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