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취수원 이전 첫 만남 '헛바퀴'

입력 2015-03-18 05:00:00

대구시-구미시 민관협 출범…회의안건·의사일정까지 난항

'한 달에 두 번(대구시) VS 두 달에 한 번(구미시)'.

대구취수원 이전을 위한 대구시와 구미시 간의 민관협의회가 힘들게 출범했지만 결론 도출에 상당한 난항이 예상된다.

대구시는 200만 명의 식수 문제가 걸린 만큼 적극적인 협의를 요구하고 있지만 구미시는 취수원 이전을 위한 국토교통부 용역 자료의 신뢰성이 없고 7년을 끌어온 문제인 만큼 급할 것이 없다는 자세다.

17일 오후 2시 경북 구미시 상하수도사업소에서 열린 민관협의회는 자칫 '상견례'로 끝날 뻔했다.

구미시가 이날 협의회 모임 성격을 '상견례'로 못박고 회의 안건 상정이나 향후 일정 조율 등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민관협의회 구성원의 인사가 끝난 뒤 양명모 공동위원장(대구시)이 "앞으로의 일정과 간사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협의회 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는 이 자리에서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구시 관계자는 올 6월 말까지 한 달에 두 번씩 협의회 모임을 갖자고 제안했다. 또 양측의 공무원이 간사를 맡아 일정을 조정하고 위원을 소집하는 등의 업무를 하자고 의견을 내놨다.

이와 달리 구미시는 분명한 반대 입장을 내놓았다. 윤종호 공동위원장(구미시)은 "7년이나 걸린 문제를 6개월 만에 해결하기는 어려울 듯하니 1년을 운영기간으로 두고 두 달에 한 번 만나는 것이 좋겠다"고 반대 의견을 내놨다. 주된 이유는 국토부의 용역결과를 믿을 수 없어 취수원 이전과 관련한 자료들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

이동식 구미 YMCA 사무총장도 "국토부 용역을 검증할 시간이 필요한 만큼 검증 이후에 협의회의 운영 주기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며 "월 2회 모임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구미 측 협의회 위원들은 협의회 운영을 최대한 늦추려는 태도가 뚜렷했다.

남유진 구미시장의 제안으로 '민관협의회 구성'을 전격 수용했던 대구시는 당황스러운 표정이다.

'두 달에 한 번 모임'은 자칫 취수원 이전을 위한 민관협의회가 취수원 이전 논의 연기를 위한 성격으로 변질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는 탓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사실 매주 만나 이야기를 했으면 할 정도로 우리는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마련할 자세가 돼 있다"며 "자주 만나야 새로운 이야기도 나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결국 이날 협의회는 향후 세부 일정이나 논의 사항에 대한 구체적 협의 없이 '내달 초 만나 대구시 의견을 듣는다'는 의견만 상호 수용한 채 끝났다.

취수원 이전 민관협의회가 시작됐지만 현안 협의에 앞서 모임 주기나 국토부 용역 결과 검증을 둘러싼 신경전이 이어진다면 합의 도출도 장기간 표류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노경석 기자 nks@msnet.co.kr

[영상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