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총체적 위기 극복 위해 소득주도 성장으로 바꿔야"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17일 청와대 회담은 박 대통령이 경제 재도약을 위한 초당적 협력을 요청한 데 반해 문 대표는 현 정부의 경제정책을 실패로 규정하고 정책의 대전환을 촉구, 향후 정국에 긴장이 조성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이번 중동 순방의 결과와 결실이 국민과 기업들에 더 큰 혜택으로 가도록 해 경제가 크게 일어나는 초석이 될 수 있도록 두 분 대표님께서 많이 도와달라. 제2의 중동붐, 제2의 한강의 기적으로 재도약하는 원동력이 되기를 바란다"며 "정치권의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정책도 국회 입법을 통해 마무리되고, 외교순방 결실도 국회가 협조해야 잘 될 수 있다"며 정치권의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문 대표는 현 정부의 경제정책을 실패로 규정하고, 총체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 중심의 경제정책을 소득주도 성장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제민주화와 복지공약 파기, 수출경제 중심 정책으로 인해 장기 내수부진, 중산층 붕괴, 양극화 심화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고 강하게 꼬집었다.
문 대표는 경제위기 극복과 민생을 위해 4대 과제를 제시했다.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 및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생활임금의 전면 도입 ▷법인세 정상화와 고소득자에 대한 과세 강화 등 공평하고 정의로운 조세체계 구축을 통한 복지재원 마련 ▷전'월세값 폭등 등 서민 주거난 해결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특단의 대책 마련을 4대 민생과제로 제시하면서 이의 해결을 정부에 촉구했다.
문 대표는 이날 현 정부의 금리 인하, 부동산 경기부양, 수출주도형 경제정책 모두에 비판의 칼날을 들이대면서 각을 세웠다.
이 같은 문 대표의 비판은 현 정부 정책에 대한 야당의 입장을 그대로 대변하는 것이어서 경제정책을 둘러싼 여야 간 입장 차와 대립구도로 향후 정국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김병구 기자 k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