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개발국 식수난, 상상 이상…최진근 경운대 새마을아카데미원장
새마을운동을 전수하면서 저개발국에서 물 부족으로 겪는 심각한 참상은 매우 충격적이었다.
에티오피아 아둘랄라 마을에 한국 새마을 리더가 처음 도착했을 때 마을대표는 "우리에게 물을 주기 위해 메시아가 왔다"고 했다,
마을 주민들은 옷을 사서 다 떨어져 버릴 때까지 세탁을 하지 못했다. 자녀들이 학교에 가지 못할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물을 길어서 오가는 거리가 왕복 14㎞의 먼 길이고, 학교에 수도시설이 없다 보니 자녀들이 식수로 가지고 갈 물이 없어서 그렇다.
인근에 있는 데베소 마을은 새마을 리더들이 보건위생교육으로 '이를 닦는 방법', '손 씻기' 등을 가르칠 준비를 해 갔지만 현지 주민들은 '물을 입에 넣었다 뱉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거절했다.
마을 주민들은 노란 기름통을 씻어서 물을 길어 나르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었다. 물통 수도 가정마다 제한하고 있으며, 수백 명의 주민들이 노란 물통을 들고 수백m 긴 행렬을 지어 나르는데, 가난한 사람은 물통을 직접 들고 가서 길어오고, 생활이 좀 나은 사람은 당나귀로, 형편이 좋은 사람은 마차로 나르고 있었다.
르완다는 1천여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나라로 마을이 산 위에 위치하고 있었다, 새마을 리더가 파견된 키가라마 마을은 물을 긷기 위해 평지까지 내려가는데 약 15분 정도 소요되고, 물을 받아 올라갈 때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특히 새색시는 스카프로 물통을 묶어서 이마에 걸쳐서 나르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었다. 애써 길어다 둔 물독 속에 올챙이가 부화해서 개구리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래도 그 물을 먹으면서 살아가는 실정이었다.
탄자니아에서는 물이 부족한데다 오염돼 있었다. 아이들이 오염된 물을 마시기도 하고, 물놀이를 하다 보면 벌레가 피부 속으로 들어가 알을 낳고, 이 알이 몸속에서 기생하다 보니 '주혈흡충증'에 걸린 모습을 가끔 볼 수 있었다.
캄보디아 씨엠립 스피린트 마을에 새마을운동을 전수하기 위해 사전 현장조사를 갔을 때였다, 마을주민들은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식수"라면서 관정을 요청하기에, 그럼 "물은 어디서 길어다 먹느냐"고 하자 "집 앞 웅덩이에 고여 있는 물을 먹는다"고 했다. 깜짝 놀라 물 웅덩이를 자세히 살펴보니 갖가지 쓰레기로 오염된 물을 먹는 것이 아닌가.
새마을운동 세계화 현장에서 본 물 부족의 심각성은 물과의 전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에는 심각한 물 스트레스 지역의 인구가 2000년 19억 명에서 2050년에는 39억 명으로 급증한다고 나와있다 .
다음 달 대구경북에서 세계물포럼을 개최하는 것은 물이 곧 생명임을 새롭게 인식시키고, 국제전문가들이 물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함께 모색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우리 고장에서 열리는 세계물포럼에 우리 모두 적극 참여해 생명의 원천인 소중한 물을 지키고 절약하는 지혜를 함께 모아야 한다.
최진근 경운대 새마을아카데미 원장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