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 지난달 동향조사
전국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 상승폭이 커졌다. 전세매물 부족에 따른 전세가격 상승과 부동산 시장 기대감이 반영돼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70%를 넘었다. 특히 대구의 매매가와 전세가 상승폭은 여전히 다른 지역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은 지난달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 실시 결과, 1월에 비해 매매가와 전세가가 각각 0.2%, 0.33% 상승했다고 1일 밝혔다.
매매가격은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들의 매매전환이 증가하면서 상승폭이 커졌다. 수도권은 0.24%, 지방은 0.16% 올랐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0.45%로 전국 평균을 2배 이상 크게 웃돌았고, 경북은 0.22%를 기록했다. 전남과 전북은 각각 -0.13%, -0.01%로 하락했다.
전세가격은 수도권이 0.50%, 지방은 0.18% 상승했다.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0.40%로 가장 높았으며, 전남과 세종은 각각 -0.06%, -0.03%으로 조금 하락했다.
수도권은 서울 재건축단지의 본격적인 이주시기가 임박하고, 전세물량 부족 현상이 심화됐다. 경기'인천권은 서울과 교통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가격 상승세가 확산돼 전체적으로 지난달 대비 상승폭이 조금 더 커졌다. 경기도는 1월보다 상승폭이 커지면서 수도권 중 가장 높은 오름폭을 보였다.
그 외 지역은 전체적으로는 1월과 비슷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대구는 3호선 개통예정 등 지역 내 개발 호재 영향으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세종시 전셋값은 0.03% 하락해 1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하락폭은 1월보다 작아졌다.
전국 주택의 전세가율은 평균 63.3%를 기록해 전달에 비해 0.1%포인트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63.6%, 지방 63.0%, 서울 62.1%를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70.6%, 연립주택 64.3%, 단독주택 43.3% 순이었다. 단독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올랐다.
임상준 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