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은 각종 음식으로 풍성한 명절이다. 먹을 만큼 음식을 장만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손이 큰 한국인들은 모자라는 것보다 남는 것을 선호한다. 설이 지난 뒤 가장 많이 남는 음식은 튀김과 전, 나물이다. 튀김은 냉동실에 넣어뒀다가 다시 먹으면 눅눅해 맛이 없고, 나물은 빨리 상하기 때문에 빨리 먹지 않으면 음식물 쓰레기가 된다. 남은 설 음식을 버리지 말고 새 요리를 만들어 보자. 요리교실인 '양생수까락'의 요리연구가 김영은 씨와 함께 튀김과 나물을 활용한 요리를 만들어 봤다.
◆나물, 버리지 마세요! '얼큰 나물찌개'
설날 제사상에 빠지지 않는 것이 있다. 고사리와 콩나물, 도라지 등 각종 나물이다. 나물은 자체에 수분이 있어서 빨리 상하고, 냄새가 난다. 보통 이런 나물들은 고추장을 넣고 비빔밥을 만들어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명절마다 먹었던 나물 비빔밥이 지겨웠다면 나물찌개를 끓여 보자. 기호에 따라서 남은 산적을 찢어서 넣거나 육류를 넣어 맛을 내는 것도 좋다.
▷재료: 제사 나물 (콩나물, 고사리, 무 나물), 다시마 2장 (육수용), 미나리, 느타리버섯, 국간장, 고춧가루
1. 물에 다시마를 넣고 살짝 끓인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다시마를 바로 꺼내 쓴맛이 나지 않도록 한다.
2. 국간장을 넣는다. 이때 국간장은 국물에 살짝 색깔만 낼 정도로 한 숟가락만 넣는다. (집마다 냄비 크기가 다르고, 간을 내는 법이 다르니 각자 취향에 맞게 간을 하면 된다.)
3. 나물을 넣는다. 나물이 이미 조리가 된 상태여서 오래 끓이면 오히려 질겨진다.
4. 고춧가루를 넣는다. 붉은 기만 살짝 내려면 한 숟가락, 매콤하게 먹고 싶다면 양을 조금 늘린다.
5. 느타리버섯과 미나리를 넣고 맛있게 먹으면 끝!
◆오징어 튀김이 탕수육으로 '발사믹 탕수전'
명절 튀김도 처지가 곤란한 음식이다. 이미 기름기가 많은 튀김류를 다시 한 번 기름에 튀기면 느끼하고 소화도 잘 안 된다. 기름기가 없는 프라이팬에 살짝 익혀서 먹어도 좋지만 탕수 소스를 만들어 함께 먹으면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다.
▷재료: 오징어튀김, 고구마튀김, 연근 튀김, 감자튀김, 물, 오이, 당근 각 반 개, 파프리카 3분의 1, 전분, 소금, 매실액, 올리고당, 발사믹 식초
1. 먼저 탕수 소스를 만든다. 냄비에 물 한 컵 반을 붓고 매실 엑기스 반 컵, 올리고당(설탕으로 대체 가능) 두 숟가락, 발사믹 식초 한 숟가락, 소금 한 숟가락(티스푼) 씩 넣는다. 단 것을 좋아하면 물엿을 넣어도 괜찮다.
2. 야채는 단단한 것부터 넣는다. 작은 크기로 자른 당근과 파프리카를 먼저 넣는다. 오이와 양파는 제일 마지막에 넣는다. 그래야 오이와 양파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
3. 야채가 살짝 익으면 가스레인지에 불을 끄고 물에 으깬 전분을 넣는다. 탕수 소스 농도는 전분으로 맞추는 것이기 때문에 소스가 걸쭉해질 때까지 넣고 젓는다.
4. 남은 튀김을 한 입 크기로 잘라 기름을 붓지 않은 프라이팬에 살짝 데운다.
5. 튀김 위에 만든 탕수 소스를 붓고 맛있게 먹는다.
◆남은 잡채는 만두, 김말이로 변신!
이날 직접 만들지는 않았지만 김영은 씨는 잡채를 활용한 요리법도 소개했다. 잡채가 따뜻할 때 쫀쫀한 당면을 먹으면 씹는 맛이 좋아도 시간이 지나 당면이 불면 젓가락이 쉽게 가지 않는다. 남은 잡채를 잘 활용하면 만두와 김말이용 속 재료로 알차게 사용할 수 있다. 만두피는 대형마트나 시장에 가면 구할 수 있으니 만두피를 만드는 것이 번거롭게 느껴진다면 이를 추천한다.
▷재료: 만두피, 김치, 잡채, 물 (이상 잡채 만두용 재료)
1. 김치를 씻어서 잘게 썬다. 잡채는 1㎝ 크기로 작게 다진 뒤 김치와 잘 섞는다. 만두 속이 될 재료들이니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2. 만두피를 준비한다. 만두피 가장자리에 물을 발라서 잡채와 김치로 만든 재료를 속에 넣고, 끝을 눌러 만두 모양을 낸다.
3. 모양을 갖춘 만두는 구워 먹어도 좋고, 다시마 육수를 낸 뒤 만두전골용으로 끓여 먹어도 좋다.
▷재료: 고구마튀김, 잡채, 밀가루, 튀김옷 (이상 잡채 김말이용 재료)
1. 명절 때 남은 고구마튀김 옷을 벗긴다. 잘 익은 고구마만 따로 분리해 으깬다.
2. 바닥에 김을 놓고서 그 위에 으깬 고구마를 밥을 까는 것처럼 평평하게 깐다.
3. 고구마 위에 잡채를 넣고, 김을 예쁘게 만다.
4. 밀가루와 물을 1:1 비율로 섞고, 여기에 한 입 크기로 만든 김말이를 살짝 담근다.
5.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기면 김말이 완성!
황수영 기자 swimming@msnet.co.kr
사진 박노익 선임기자 noik@msnet.co.kr
취재 협조: 요리교실 '양생수까락', http://blog.naver.com/gungang_food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