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구제역 방역, 현장중심 대응책 마련하라

입력 2015-01-13 05:02:14

충북 진천의 양돈농가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다. 영천, 의성, 안동 등 경북지역뿐만 아니라 충남과 경기도 등 전국으로 확산하면서 소 구제역까지 나타났다. 정부와 지자체가 농가와 더불어 백신 접종과 차단 방역에 나서고 있지만, 막지 못하고 있다. 방역 당국이 지금껏 구제역 발병의 원인과 경로조차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니, 농가와 시중의 불안감도 높다.

일각에서는 민족의 대이동이 시작되는 설 연휴를 앞두고 4년 전의 악몽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는 형국이다. 방역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는 곧 "4년 전 그렇게 당하고도 정부는 그동안 뭘 했느냐"는 비판이다. 농가의 축사 관리와 예방접종 지도'감독은 물론 백신 개발'보급 등 현장 대책이 부실했다는 것이다.

방역 당국은 "백신 접종을 했는데도 구제역에 걸렸다"는 농가의 항변에 귀 기울여야 한다. 백신의 효능에 대한 불신과 변종 바이러스 가능성에 대한 불안이다. 과태료 처분에도 백신 접종에 미온적이거나 항체 형성률이 낮은 농가가 적지 않다는 점에 대해서도 현장 중심의 대응이 필요하다.

지금으로서는 구제역 확산을 막을 현실적인 방법은 예방백신 접종과 가축이동 통제 그리고 농장 출입제한과 철저한 소독밖에 없다. 더불어 이번 구제역 사태를 또 한 번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보다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예방체계와 방역대책 구축으로 다시는 구제역 발생으로 예산과 인력을 낭비하는 후진국형 축산정책의 전형을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