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시가 남부권 신공항 판 깨게 해서는 안 돼

입력 2014-12-11 11:05:19

수도권 초집중 현상에 맞서 국토의 남부권 5개 시도 경제활성화의 핵심사업이 될 남부권 신공항 사업이 '부산시'라는 거대 암초에 걸려 있다. 경남 밀양을 미는 대구'경북'경남'울산과는 달리 가덕도를 미는 부산시는 최근 남부권 신공항 입지조건에 대한 이런저런 변수를 도입해야 한다는 단계를 넘어서서 민자 유치로 독자적인 신공항 유치 계획까지 발표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이 민자 유치로 이를 성사시키겠다고 하자 '김해공항 가덕이전 범시민운동본부'를 포함한 부산시민단체들은 긴급 성명서를 내고 지지를 발표했다. 이뿐만 아니라 시민운동본부는 ㈜부산국제공항건설을 설립하여 국내외 투자자의 관심을 높이고 투자재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문까지 내놓았다.

며칠 전에는 서 시장이 "상식적으로 판단해도 가덕도 물구덩이보다는 밀양 맨땅이 (남부권 신공항 입지로) 낫다"며 밀양 신공항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홍준표 경남지사를 초청하여 등산을 하고 오찬을 함께 하며 신공항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인접 지자체장들이 만나서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하지만 밀양 신공항을 미는 홍 지사를 초청해서 남부권 신공항 문제를 거론하는 것은 마치 부산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4개 시도의 단합을 흔들려는 처사처럼 비치기도 한다.

남부권 신공항은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공항 사업은 정부가 국토의 균형발전과 국가 안보 그리고 유사시 제2 관문공항 역할 수행까지 맡길 국가사업 가운데 하나이다. 그렇기에 대구시나 경상북도도 대구 공항을 확장하거나 경산 혹은 영천 금호쯤을 남부권 신공항 입지로 밀면 좋지만 남부권 전체의 균형발전과 접근성 그리고 안보적 효율성 등을 감안해서 경남 밀양을 미는 대승적 입장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시가 공정한 게임의 룰을 지키기보다는 무조건 부산에 신공항을 추진하겠다는 전략은 거대한 압박감을 무기로 정부 정책도, 5개 시도의 애당초 합의도 무시하겠다는 것처럼 느껴진다. 남부권 신공항, 특정시도의 입장 표명과는 상관없이 흔들림없이 추진되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