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새누리 찬반 시끌

입력 2014-12-10 11:10:36

보수혁신위·시도당 연석회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위원장 김문수) 산하 공천선거개혁소위는 9일 국회에서 17개 시도당위원장과 '공천개혁 토론회'를 열고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방안을 논의했다. 연석회의를 통해 당내 여론을 우호적으로 이끌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보수혁신 특위는 앞서 이달 1일 전체회의에서 국민공천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전략공천은 원칙적으로 폐지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나경원 소위원장은 "혁신위는 원칙적으로 국민께 공천권을 돌려주기로 했다. 이런 의미로 오픈프라이머리보다는 국민공천제도로 이름을 붙이고 논의를 계속하겠다. 재량을 넘어 자의적 판단이 개입된다는 비판을 받았던 전략공천은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책임당원 권한과 정당 기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강석호 새누리당 제1사무부총장(봉화영덕영양울진)은 "상향식 공천제가 일반 유권자의 정치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장점이 있지만, 당원 정체성이 사라질 수 있다"며 "국민공천제를 도입한 외국 사례를 통해 당원 권리를 보장하고 실현할 방안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새누리당은 전국에 책임당원 15만 명이 있으며, 연간 이들이 내는 당비가 70억∼80억원에 달한다.

강 부총장은 또 "전략공천을 무조건 폐지하면 적합한 사람이 없는 지역에서는 재공모가 반복될 수도 있다. 전략공천 폐지를 보완하려고 논의한 여성'소수자 배려 규정도 불완전하다"고 꼬집었다.

정수성 경북도당위원장(경주)은 "완전 국민경선은 도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결국 당원과 여론의 반영비율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했다. 전략공천에 대해선 "특정인, 특정 계파에 의한 전략공천을 없애자는 취지에 맞게 예외규정이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당원과 국민이 절반씩 참여하는 국민공천제 방식을 도입하자는 제안도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공천제 도입 시 후보자 자격심사 문제, 실거주 기간, 당협위원장의 사퇴 시기 등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새누리당은 공천선거개혁과 관련,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내년 상반기까지 법제화할 계획이다.

이지현 기자 everyda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