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시세보다 10% 이상 수매에 너나 없이 팥 생산
경주지역 대표 특산물인 '황남빵' 지역에서 생산되는 팥을 전량 수매하면서 경주가 경북도내 최대 팥 생산지로 자리 잡았다. 전국적으로 강원도에 이어 2위 규모다.
경주시에 따르면 황남빵은 2011년부터 지역 팥을 전량 수매하는 계약재배를 실시해 팥 재배농가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와 지역농가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경주의 팥 생산량은 비약적으로 늘고 있다. 2011년 173농가에서 계약면적 39.5㏊에 팥을 재배해 31t(80㎏짜리 375가마), 2012년 389농가에서 115㏊를 재배해 80t(1천가마), 2013년 813농가에서 223㏊를 재배해 220t(2천750가마)의 팥을 생산했고, 황남빵이 이를 전량 수매했다.
황남빵은 가격면에서도 80㎏짜리 한 가마의 강원도 평균시세인 26만5천원보다 10%이상 높게 책정한 31만원의 금액으로 수매해 지역 농가 소득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이태현 경주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팥은 주 작물이 아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많이 재배하는 곳이 흔치 않다. 막상 재배를 하더라도 판로가 걸림돌이 돼 농민들이 선뜻 나서지 못했다"며 "황남빵이 계약재배 후 전량을 수매하기 때문에 농민들이 판로에 대한 걱정없이 재배하고 있으며, 호응이 높아 지역 농가에서 팥 계약재배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고 했다.
경주시와 황남빵은 안정적인 팥 재배를 돕기 위해 야생조수 기피제 등을 농가에 지원하고 있다. 행정자치부 지정 경북도 명품 제2호인 황남빵은 1939년 경주시 황남동에서 최영화가 처음 만들었으며, 3대째 75년간 이어지는 지역 최대 특산품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