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산재 빈발 사업장 26곳"

입력 2014-12-10 07:26:08

고용부 산재 사업장 공개

대구경북에서 산업재해가 빈번한 26곳이 공개됐다. 이들 업체는 대부분 근로자 100명 가운데 2명 이상이 업무상 재해를 입은 것으로 드러나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일부 업체는 산업재해가 일어났으나 신고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잘못을 고치기는커녕 재해 사실을 숨기기에 바빴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지난 한 해 동안 산업재해율이 높았거나 사망사고가 많이 발생한 전국 사업장 254곳을 홈페이지(www.moel.go.kr) 등을 통해 공표했다.

공개 대상은 연간 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 이상인 사업장 중 상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사업장이고 산업재해로 연간 사망재해자가 2명 이상 발생한 곳이다. 또 관련법에 따라 산재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에 2회 이상 보고하지 않은 사업장 및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도 공개 대상에 포함했다.

지역 내 산재 다발 사업장으로 대구 12곳, 경북 14곳이 포함됐다. 전국 대비 약 10%에 달하는 수치다.

대구에서 가장 높은 산재율을 기록한 곳은 달성군에 위치한 정안철강㈜으로 3.85%에 달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직원 104명 가운데 4명이 산업재해를 입었다. 동종 업계의 평균 재해율이 0.56%에 불과한 것에 비하면 정안철강㈜은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구에 사무실이 있는 현대티엠에스㈜도 산재율이 3.81%에 달해 동종업계 0.33%보다 높았다.

이 밖에 산재율 3% 이상을 기록한 곳으로 북구청 환경관리과(3.73%), 달성군 ㈜영원무역 대구공장 증설공사 대행 하우텍씨엔알건설(주)(3.51%) 등이 포함됐다.

경북의 경우 산재율 6.60%를 기록한 문경시청(자원순환센터)이 가장 많은 산재가 발생한 곳으로 나타났다. 동종업계 평균 산재율 0.72%의 약 10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곳에선 지난 한 해 동안 106명의 직원 가운데 7명이 산업재해를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의 경우 공공기관 산하 사업장의 재해율 발생이 높았다. 문경시청을 비롯해 고령군청(2.63%), 구미시청(2.07%) 등 3곳의 관공서가 산재 발생 지역으로 공개됐다.

이 밖에 포항에 있는 삼성물산㈜이나 ㈜동방포항지사 등은 모두 3.0%를 웃도는 산재율을 기록했다. 특히 ㈜동방포항지사는 무려 10명의 산재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산재발생 보고의무를 2회 이상 위반 사업장은 대구에 2곳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산업개발의 경우 대구도시철도 1호선 정거장 이동편의시설을 공사하면서 2011년부터 3년간 4번이나 산업재해 신고를 하지 않았다. 영남대학교의료원도 같은 기간 2번의 신고 위반 건수를 기록했다.

한편 전국적으로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한 사업장은 ㈜일군토건(재해율 10.00%), 유성기업㈜ 영동공장(재해율 9.16%), ㈜풍생(6.67%), 문경시청(자활순환센터'6.60%) 등 254곳이다.

사망사고가 많았던 사업장은 지난해 장마 기간 수몰사고로 7명이 사망한 동아지질㈜이었고, 같은 해 3월 폭발사고로 6명이 사망한 유한기술㈜, 5월 가스 질식사고로 5명이 사망한 한국내화㈜ 등 15곳이 꼽혔다.

산업재해 발생 보고 의무를 가장 많이 위반한 사업장은 현대제철㈜ 당진공장 20건, ㈜마니커 13건 등 21곳이고 위험물질 누출, 화재'폭발 등 중대 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은 유한기술㈜(대림산업㈜ 여수공장 하청업체), 삼성정밀화학 등 4곳이 포함됐다.

정부는 지난 2004년부터 산업재해 발생에 대한 경각심과 재해예방의 중요성을 높이고 산재예방을 위한 기업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하여 산업재해 및 사망사고가 많은 사업장을 공개해왔다. 이번에 공표된 사망재해 발생 사업장 대부분은 감독대상으로 선정해 그동안 수시 또는 특별감독을 실시해 왔고, 향후 2년간은 기업은 물론 그 임원들까지 정부 포상이 제한되는 추가 제재 조치도 시행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