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서각의 시와 함께] 나는 아무래도 무보다 무우가-김선우(1970~ )

입력 2014-11-17 07:26:48

무꾸라 했네 겨울밤 허리 길어 적막이 아니리로 울 넘어오면

무꾸 주까? 엄마나 할머니가 추임새처럼 무꾸를 말하였네

실팍하게 제대로 언 겨울 속살맛이라면 그 후로도 동짓달 무꾸맛이 오래 제일이었네

학교에 다니면서 무꾸는 무우가 되었네 무우도 퍽 괜찮았네

무우- 라고 발음할 때 컴컴한 땅속에 스미듯 베이는 흰빛

무우밭에 나가본 후 무우- 땅속으로 번지는 흰 메아리처럼

실한 몸통에서 능청하게 빠져나온 뿌리 한 마디 무우가 제격이었네

무우라고 쓴 원고가 무가 되어 돌아왔네 표준말이 아니기 때문이라는데,

무우- 라고 슬쩍 뿌리를 내려놔야 '무'도 살 만한 거지

그래야 그 생것이 비 오는 날이면 우우 스미는 빗물을 따라 잔뿌리 떨며 몸이 쓸리기도 한 흰 메아리인 줄 짐작이나 하지

무우밭 고랑 따라 저마다 둥그마한 흰 소등 타고 가는 절집 한 채씩이라도 그렇잖은가

칠흑 같은 흙 속에 뚜벅뚜벅 박힌 희디흰 무우사(寺)

이쯤 되어야 메아리도 제 몸통을 타고 오지 않겠나

- 시집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신가』, 문학과지성사, 2007.

옛 문헌에는 '무 '라고 표기되어 있다. 반치음 'ㅿ'이 사라지면서 '무우'가 되었다. 지역에 따라서는 '무수' '무꾸' '무시'로 쓰인다. 분명한 것은 현재 표준어로 정해진 '무'는 원래 2음절의 말이었다는 것이다. 왜 '무우'가 '무'가 되었을까?

표준어 사정 원칙에 서울말 중심이라는 규정 때문이다. 서울 사람들은 왜 '무우'를 '무'라고 했을까? 서울 사람들은 마음도 바쁘고 걸음도 빠르다. 보다 빨리, 보다 많이, 보다 높이 되려는 성장 위주의 사회 분위기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아무리 바빠도 무보다 무우라 해야 가을 무우의 제 맛이 난다. 무의 계절이다. 오늘 점심엔 뜨거운 밥에 곱게 썬 무우 생채를 얹어 비벼먹어야겠다.

시인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