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硏대경지부·영남대 주최, 화원 설화리 상여행렬 시연도
한국의 전통 상례문화를 다루는 국제 세미나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열린다. (사)국학연구소 대구경북지부(지부장 황영례)'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소장 정병석 교수) 공동 주최로 14, 15일 영남대에서 열리는 '제1회 한국 전통 상례문화 전승 및 세계화를 위한 국제학술세미나'다.
주제는 '상엿집-순간과 영원의 만남'. 나라별'종교별 생사관(生死觀)과 상'장례문화를 알아보고, 한국 전통 상례문화의 전승방향 및 세계화를 위한 학술적 접근을 하는 자리다. 일본'중국'캐나다에서 온 학자와 불교'기독교'유교 등의 종교계 인사 등 16명이 학술발표와 토론자로 참여한다.
주최 측은 "망자에 대한 예의, 즉 상례를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재해석하고, 어떻게 살 것인가를 성찰하는 자리"라며 "사라져가는 한국 전통 상례문화의 보전'전승 및 세계화를 위한 노력에 큰 획을 긋는 역사적인 세미나가 될 것"이라고 했다.
14일에는 조원경 (사)나라얼연구소 이사장이 '경산 상엿집의 과거'현재'미래'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한다. 이어 건축사무소 이로재의 승효상 대표가 '건축과 전통', 김옥랑(동숭아트센터 대표) 꼭두박물관장이 '한국의 천사 꼭두'를 테마로 특별강연을 한다.
특별 행사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4대에 걸쳐 잡소리가 섞이지 않은 채 120년간 계승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의 한국 전통 상여행렬 시연과 이애주 서울대 명예교수의 넋 살풀이 공연이 영남대 민속촌에서 펼쳐진다.
오후에는 양명수 이화여대 교수와 지안 스님, 정병석 영남대 교수가 기독교'불교'유교의 생사관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캐나다 가톨릭예수회 베르나르 스네칼(Bernard Senecal) 신부는 '하회마을의 전통상례와 가톨릭의 상례비교 연구'를 소개하고, 연변조선족 예의연구회 현룡수 이사장은 '길림성 우리 민족의 전통 장례문화 현황'에 대한 발표를 한다.
15일에는 김광언 인하대 명예교수, 사사키미카 코우난대 교수, 우승표 간사이외국어대 교수가 한국'일본'중국 등 동아시아의 상'장례 연구에 대한 학술 발표를 한다.
2007년 1월 문을 연 국학연구소 대경지부는 급속하게 사라져가는 전통 상례문화 보존을 위해 경산시 하양읍 무학산 중턱에 약 300년 된 '경산 상엿집과 관련 문서'를 국가중요민속문화재 제266호로 지정받아 보전'관리하고 있다. 1978년 설립된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는 '민족문화 총서' 발간 등 전통문화와 관련한 활발한 연구'저술활동을 하고 있다. 문의 053)853-4848. 경산 김진만 기자 fact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