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빚으로 빚을 갚는 다중채무자가 328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부채규모는 지난 2010년보다 12.5% 늘어난 317조3천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이들의 빚이 원리금 상환부담이 큰 제2금융권으로 몰리고 있어 향후 경제위기의 뇌관이 될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훈 새누리당 의원이 금융감독원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말 현재 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사, 카드사, 캐피털사, 대부업체 등 세 곳 이상의 금융회사로부터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328만명, 채무액은 317조3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말(318만명'282조1천억원)보다 다중채무자 수는 3.1%(10만명), 채무액은 채무액은 12.5%(35조2천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1인당 채무액은 8천870만원에서 9천670만원으로 증가해 현재 추세라면 연말엔 1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더욱이 다중채무자의 빚 가운데 이자율이 높고 상환기간이 짧아 원금과 이자를 갚기 어려운 제2금융권 부채가 절반이 넘는데다 그 증가폭도 매년 커지고 있어 더욱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다중채무자의 빚 가운데 제2금융권 부채의 비중은 2010년 말 45.6%(128조5천억원)에서 지난 6월말 51.3%(162조8천억원)로 높아졌다.
이와 함께 직장생활 은퇴 등으로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60세 이상) 채무자의 비율과 가처분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높아지고 있어 금융당국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지난 2010년 142조4천억원이었던 고연령 차주의 대출규모는 올해 6월말 204조5천억원으로 62조1천억원 증가(43.6%)했다.
김 의원은 "비은행권 가계대출 비중이 늘어나면 취약계층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저금리 전환대출, 서민우대금융 등 취약계층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광준 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