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캠핑장 1천460곳 안전사고 속수무책

입력 2014-10-08 10:11:43

기반시설, 위생관리 등 미흡

가족들과 함께 떠나는 야영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야영장에 대한 안전관리는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운용 중인 1천866개 야영시설 가운데 민간이 운용하는 1천460개 야영장의 안전관리 기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윤관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와 안전행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캠핑시설 안전관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캠핑시설은 모두 1천866개였다. 이 가운데 관리주체가 정부나 지자체 등 공공기관인 곳은 359개소, 민간은 1천507개였다.

여성가족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관리'감독하는 47개소를 제외한 1천460개 민간야영장의 경우 관리'감독 부처와 법률이 없어 사실상 안전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

실제로 안행부는 지난 2013년 816개, 2014년 1천243개 민간야영장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했지만 시정명령이나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권한이 없어 점검 과정에서 지적 사항이 발견된 야영장에 시정을 권고하는 데 그쳤다.

현장 점검 결과 공공 운영 캠핑장에 비해 민간 운영 캠핑장의 안전관리 실태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반시설 열악 ▷시설 노후 ▷편의시설 위생관리 미흡 ▷관리자의 안전관리 인식 결여 ▷주의사항 및 비상시 행동요령 안내 부족 ▷전기 및 가스시설 등에 대한 정기점검 관리 부족 ▷인근 소방서, 병원 등과의 비상연락체계 구축 미흡 등이 지적됐다.

윤 의원은 "야영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야영장이 우후죽순처럼 만들어졌지만 이 가운데 78.2%에 이르는 민간 캠핑시설은 사실상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상황"이라며 "캠핑시설을 문화부 소관의 관광'여가시설로 분류해 안전관리 감독을 실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광준 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