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저는 첫 결혼에 실패하고 좋은 여자를 만나 결혼했습니다. 그런데 아내에게는 이미 철없는 어린 자식이 셋이나 있었습니다. 새 가족이 한데 살다 보니 가정교육을 잘 받지 못하고 자란 아이들의 버릇없고 게으른 행동들이 거슬리기 시작했지요. 이대로 가다간 어른 아이도 없고 무질서함이 새 가족의 결합을 방해할 것 같아 저는 아이들을 엄하게 대했고 집안일과 자기 일을 철저히 하도록 잔소리를 했습니다. 가끔 종아리도 때렸습니다. 그러자, 아이들은 불만을 쏟아냈습니다. 차라리 예전으로 돌아가자며 엄마를 졸랐지요. 더 힘든 건 주위 친척도 새아빠라는 편견으로 저를 흉보았고 마침내 아내마저 등을 돌리고 이혼을 하자고 합니다. 새 가족을 위해 헌신한 것은 온데간데없고 비난만 쏟아지니 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솔루션=한 번의 결혼 실패로 가정을 이루지 못하고 살다가 어느 날 좋은 여인과 다시 사랑을 찾았다 생각했는데, 아내의 어린 자식들과의 갈등으로 두 번째 결혼도 위기에 처해 있으니 귀하의 마음이 편치 않으리라 봅니다.
더구나 귀하 입장에서는 이혼은 했지만 슬하에 자식이 없는 단출한 입장에서 다시 결혼을 해 어찌 보면 올망졸망한 아이가 여럿 딸린 아내보다는 조금은 덜 미안한 결혼이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정은 역전돼 오히려 양육을 부탁해야 할 아내가 위풍당당하고 이들을 입히고 먹이며 가장으로서 고생을 다해온 새아빠가 도리어 비난을 받게 된 것 같습니다. 사정이 이쯤 되고 보니 귀하는 억울하고 후회스럽기도 한 것 같습니다.
그것은 아이들이 새아빠에 대한 예의나 가족 간 질서가 없어 아빠 된 책임으로 엄하게 했는데 돌아오는 것은 질책과 비난, 그리고 이혼 요구밖에 없는 것이겠고요. 또 가정의 화합을 위해 좀 참고 아이들을 감당할 수 있는 수양이 부족했던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어 진퇴양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는 귀하께 위로의 말씀을 이렇게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그래도 귀하는 세 아이를 둔 아이 엄마를 사랑했고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 그녀의 환경까지 받아들인 것입니다. 그것은 참사랑이요, 아무나 흉내조차 낼 수 없는 용기있는 선택이라 보여집니다. 아이 엄마에게도 구세주 같은 사람이었고 네 식구를 받아주는 것에 큰 감동을 느꼈으리라 봅니다.
다만, 이런 일 앞에서 귀하가 다듬어야 할 마음은 '인내'와 '기다림'이라 여겨집니다. 아이들은 새아빠에 대한 적응기가 필요하고 과연 이 새아빠를 믿어도 괜찮을까에 대한 시험기간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 시기의 아이들은 새아빠가 화내고 실망스러운 일을 자기도 모르게 많이 하는 법이랍니다. 그러니 그때마다 새아빠는 유연하고 관용적인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 시기가 지나고 나면, 아이들은 새아빠가 안전한 대상이란 것을 새삼 느끼고 적응기에 들어가면서 자기들을 사랑해주는 사람을 위해 맞춰주는 기특한 모습을 보여주는 시기가 온답니다. 이제부터라도 새아빠는 위험한 존재가 아니라 넓은 가슴과 사랑을 주는 안전한 존재라는 것을 알게 해 줘야 합니다. 지금 아내의 아이를 듬뿍 사랑해 주는 것이 그녀를 위한 사랑이고 선물입니다.
대구과학대 교수 대구복지상담교육원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