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엔화의 약세가 지속돼 수출기업들이 큰 어려움을 겪으면서 정부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부는 1일 엔화 약세를 활용해 설비투자에 나서는 기업에 대해 세제'금융 지원을 늘리고 수출 중소기업에 정책자금을 확대하는 등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엔화 환율이 원'달러에 연동돼 마땅한 대응 수단이 없다며 그냥 지켜봐 온 정부가 뒤늦게 입장을 바꾼 것은 그만큼 '엔저 쇼크'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2012년 9월 엔화 가치를 의도적으로 낮추는 아베노믹스의 여파로 원'엔 환율이 2년 새 30% 넘게 하락해 100엔당 950원대를 기록 중이다. 당시 환율이 1천430원대였던 점을 감안하면 우리 기업의 수출 경쟁력이 그만큼 떨어진 것이다. 당장 주력 수출상품인 전자, 자동차, 철강제품 등은 일본 제품과의 가격 경쟁에 밀려 수출에 큰 애로를 겪고 있다. 여기에 스마트폰, 석유화학 등 저가 중국 제품의 공세까지 겹쳐 채산성이 갈수록 악화되는 실정이다. 내년 원'엔 환율이 800원대로 추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다만 한'일 두 나라의 산업구조와 경쟁 구도의 변화로 과거 세 차례의 엔저 파동 때와는 달리 최근 수출이 조금씩 증가하고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계속되는 등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는 우리 경제가 외적 요인에 어느 정도 맞설 만큼 맷집이 커졌다는 소리다. 하지만 수출 중소기업들이 이미 적자 문턱을 넘나들고 있고 2, 3년 후 엔저 피해가 본격화되는 등 장기 문제라는 전문가의 지적에서 볼 때 이번 엔저 쇼크도 쉽게 넘길 수 있는 상황은 결코 아니다.
어제 최경환 부총리는 기업인과의 간담회에서 엔저 활용 방안에 대해 강조했다. 엔저를 기회 삼아 설비투자와 서비스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을 기업에 촉구했다. 반복되는 엔저 파동에 맞서 피해를 줄이는 위기관리도 필요하지만 위기를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발상의 전환을 주문한 것이다. 그의 지적대로 한국경제가 더 이상 환율이라는 변수에 일희일비하는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기업'정부가 협력해 신기술 개발과 혁신 등 위기를 슬기롭게 넘기는 항구적인 방안을 마련할 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