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타이어 상주 주행시험장 백지화라니

입력 2014-09-25 11:14:09

상주시가 애써 유치한 한국타이어 주행시험장에 대한 행정 지원을 중단하고 건립 백지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아무래도 명분이 약해 보인다. 프로축구팀 상무 연고지 반납을 추진하다가 여론에 밀려 되돌린 것과 비슷한 형국이다. 경북도 또한 공동체결한 한국타이어 주행시험장 양해각서를 상주시가 1년 만에 일방적으로 파기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9월 김관용 경상북도지사와 성백영 전 상주시장은 한국타이어 부회장과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사장과 함께 상주 공검 부곡'율곡리 일대에 국내 최대의 자동차주행시험장과 타이어 연구소 등을 조성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약속했다. 수백 명의 고용 창출 효과와 인구 증가는 물론 10억 원이 넘는 세수 증대가 예상되는 사업이다. 상주시민을 위한 밥상인 셈이다.

그런데 상주시가 이제 와서 약속 파기 명분으로 주민 반대를 내세웠지만, 기실은 선거과정에서 형성된 전'현직 시장 간의 정치적 갈등 때문이 아닌가 하는 시각이 우세하다. 주행시험장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고 타이어가루가 환경을 훼손한다는 반대 사유가 설득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반대에 앞장선 주민들 대부분이 이 사업과 관련한 토지보상에서 제외된 사람들이라면 더욱 그렇다.

정작 토지가 편입된 주민들이 조속한 사업 추진을 촉구하고 있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상주를 관통하는 중부내륙고속도로에 하루 2만여 대의 차량이 오가는 것에 비해 주행시험장은 1천 대가량이 지나는 수준인데, 주행 차량의 타이어가 닳아 인체에 해롭고 친환경 농사를 지을 수 없다는 주장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한국타이어의 반론에도 반박할 만한 근거가 있는지 의문이다.

팽팽한 호각세로 당락이 엇갈린 전'현직 시장 간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일부 주민들의 경제적 갈등이 뒤얽혀 모처럼 지역발전에 동인이 될 만한 사업 유치에 발목이 잡힌다면 지방자치의 발전에도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길 것이다. 앞서 상무 프로축구팀 연고지 반납을 대승적 차원에서 거두어들였듯이, 지역과 주민의 이익에 반하는 공약과 행정은 언제든지 재검토해도 부끄러울 것이 없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