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R&D 활용공간을 왜" 구미지역 대학들 반발

입력 2014-09-16 11:04:12

기획재정부, 옛 금오공대 운동장에 구미경찰서 이전 승인

구미경찰서의 신축 이전 부지를 둘러싼 마찰(본지 8월 27일 자 1면 보도 등)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국유지인 구미시 신평동 옛 금오공대 캠퍼스 운동장을 신축 청사 부지로 사용하려는 구미경찰서의 국유재산 사용 신청을 기획재정부가 승인하자 지역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옛 금오공대 캠퍼스 전체 부지 9만여㎡ 가운데 운동장 부지는 1만5천여㎡다.

금오공대를 비롯한 지역 대학들은 "기획재정부가 대학의 사정과 지역 현안을 무시, 폭력적인 결정 통보를 한 것"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금오공대 교수회 및 총학생회 등 100여 명은 17일 기획재정부를 방문해 항의 시위를 할 계획이다. 또 구미시와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구했다.

지역 대학들은 옛 금오공대 캠퍼스에 추진 중인 '경북산학융합지구사업'이 국책사업인 만큼 운동장 부지는 학생 및 연구원들을 위한 체육'문화 공간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1년부터 추진해온 경북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은 지역의 취약한 산업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 산업계, 대학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R&D 연구혁신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올 들어 금오공대'경운대'구미대'영진전문대 등 4개 대학의 학생 500여 명이 수업을 받고 있다.

현재 모바일융합기술센터와 종합비즈니스지원센터, 전자의료기기산업화기반, 3D프린팅 등 5천여억원 규모의 국책 사업도 추진 중이다. 이곳의 상주 인원은 1천700여 명 규모다.

금오공대 교수 및 학생과 구미경실련 등은 지난달 27일부터 구미시청 앞에서 경찰서 이전 반대 시위를 벌여 왔다. 구미지역 경제단체 등도 옛 금오공대 캠퍼스를 대구경북의 R&BD 랜드마크로 키워야 한다며 지역 대학의 입장에 동참하고 있다.

구미 이창희 기자 lch888@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