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항'영덕 '윈윈전략' 지자체 상생발전의 모범이 되길

입력 2014-09-03 10:58:59

'포항시는 수돗물을 확보하고, 영덕군은 화장장 이용료 할인 혜택을 얻는다.' 만성적 용수난에 시달리는 포항시가 영덕군에 댐 건설을 당부하며, 영덕군민들을 위해 포항 화장장 이용료를 대폭 낮추는 상생 방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그 결과에 시'도민들도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역이기주의가 득세하면서 이웃한 시'군지역 간에도 교류가 부진했고, 크고 작은 현안을 두고 갈등을 빚기 일쑤였던 게 민선 지방자치시대의 현실이었기 때문이다.

대구시와 구미시가 상수도 낙동강 취수원 이전을 둘러싸고 첨예한 갈등을 빚어온 것도 그렇다. 그런 와중에 포항'영덕 두 지자체가 과거의 폐쇄적 사고에서 벗어나 상생 발전과 현안 공조를 위해 내디딘 쉽지 않은 행보여서 더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물 부족 지역인 포항시는 영덕에 달산댐이 건설되면 오십천 하천유지수와 생태환경개선 용수로 활용할 수량을 얻어 쓸 수 있다. 그 대신 영덕군민에게 포항의 화장장 사용료를 포항시민의 수준으로 인하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청정지역인 옥계계곡의 물을 이용한 달산댐 건설을 두고 주민들의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일이 현안으로 남아있기는 하다.

최근 정부의 지역행복생활권사업 추진에 따라 인접한 지자체 간 상생발전을 위한 협력사업이 많이 가시화되고 있다. 3개 도(道)의 시'군지역인 경북 영주시와 충북 단양군 그리고 강원도 영월군이 손을 잡은 소백산 권역 연계협력사업이 그 좋은 본보기이다. 비록 강원도의 사례이긴 하지만, 춘천시와 홍천군이 상생협약을 맺어 혐오시설인 화장장 운영을 윈윈으로 이끌어내며 정부의 우수 협력사례로 선정된 경우도 있다.

반면 최근 경주시와 영천시가 화장장 사용료 차등문제를 두고 미묘한 갈등을 빚었던 사례는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시'군 단위의 행정권역에 얽매이지 않고 상생을 위해 영역을 확장하는 것은 시대적인 요구이다. 지자체 간 공동이익 창출과 주민들의 소득향상과 편의제공을 위해서라면 당연한 일이다. 이번 포항'영덕 간 윈윈전략이 지자체 상호 간 취약점을 보완하며 지역 공동체의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좋은 사례로 남기를 희망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