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군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명성황후 일파가 내세운 것 중의 하나가 신식군대 양성이다. 별기군으로 이름붙여진 이 부대는 급료와 대우에서 구식군대인 무위영'장어영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다. 구식군대는 1년이 넘도록 봉급이 밀렸다가 겨우 한 달치 급여로 쌀을 받았는데 모래가 반이었다.
분노한 군대는 폭동을 일으켜 일본인 교관 호리모토 소위를 죽이고, 일본 공사관(서대문 밖 청수관)을 포위, 불을 지른 뒤 일본 순사 등 13명을 살해했다. 여기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일본은 강력한 군대를 조선에 상륙시켜 굴복을 받아냈다. 그 결과 1882년 오늘 일본 측 대표인 하나부사 공사와 조선의 김홍집 사이에 맺어진 조약이 제물포조약이다. 조선 측의 50만 원 배상, 일본 공사관의 일본 경비병 주둔, 조선 정부의 공식 사과를 위한 수신사 파견, 임오군란 주모자 처벌, 일본인 피해자 유족에게는 위문금 지불 등이 그 핵심을 이룬다.
문제는 일본에 대한 배상을 일본으로부터 차입하는 외채로 충당하도록 일본 측과 밀약함으로써 일본이 조선을 강탈할 수 있는 미끼를 던져주게 된 것. 이 조약으로 일본은 조선에서의 지위를 구미 열강들로부터 인정받았으며, 공사관 경비라는 미명하에 일본군이 조선 땅으로 건너오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기어이 국민 역린 건드리나"…조국 특사명단 포함에 野반발
조국·정경심 이어…'위안부 횡령' 윤미향도 특사 대상 포함
김문수, 전한길 토론회서 "尹 전 대통령 입당, 당연히 받아…사전투표 제도 없앨 것"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