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비세 인상·기초연금 국가 부담을"

입력 2014-08-28 11:04:23

지방재정 현안 8대 과제 전국시도지사 총회서 촉구

전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이시종 충청북도지사)는 27일 충북 C&V센터에서 제30차 전국시도지사총회를 열고 지방재정 현안 해결을 위한 성명을 발표했다.

협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기초연금, 영유아보육 등 중앙정부가 지방재정을 국가 정책 목적 달성을 위해 활용하는 바람에 지방재정난이 가중되고 있고,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지방자치 구현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지방재정 확충 및 자율성 보장을 위한 지방재정 현안 8대 과제를 제안하고, 국회와 정부의 적극적 추진을 촉구했다.

협의회가 요구한 지방재정 현안 8대 과제는 ▷지방소비세 확대 ▷지방교부세 법정률 상향 ▷국고보조사업 구조조정 ▷기초연금 지방재정부담 경감 ▷지방세 비과세'감면 정비 ▷소방재정 확충 ▷지역발전 특별회계 합리적 개편 ▷중앙-지방 재정부담 협의제도 마련 등이다.

지방소비세 확대의 경우 지방세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반영되는 체계 구축을 위해 OECD 국가 평균인 40%까지 확대해야 하는데, 먼저 현행 11%인 지방소비세를 16%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방교부세 법정률 상향과 관련해서는 2006년 19.24%로 고정된 지방교부세율을 저출산'고령화 대응 및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재원 보장을 위해 21%로 상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국고보조사업 구조조정과 관련해선 사무 구분을 통한 국고보조사업의 축소, 유사'중복 사업 통'폐합, 포괄보조 확대 등의 개편방안을 제안했다.

기초연금의 경우 연금제도는 대표적인 국가사무인 만큼 중앙정부가 재정을 100% 부담하는 것이 원칙임을 제시하면서 분담 방안을 제시했다.

이 밖에도 지방세 비과세'감면비율을 국세 수준인 14%까지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소방재정 확충과 관련해선 국비지원 대상 및 지원규모의 확대 및 세제개편 등을 제안했다. 또 중앙정부가 지방재정을 지방과 아무런 협의 없이 활용하고 있는 현행 지방재정제도 개선을 위해 '중앙-지방 재원협력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요구했다.

전국시도지사협의회 관계자는 "이번 성명서를 통해 전국 시도지사가 지방재정 현안에 대한 구체적 대안과 개선방안을 제시한 만큼 지방재정 현안 해결을 위한 국회와 중앙정부의 적극적 활동을 기대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