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다시 시작한 신공항 유치전, 사활 건 노력 필요

입력 2014-08-26 10:57:59

국토교통부의 '영남지역 항공수요조사'에서 지난해 1천157만 명이 2040년에는 153% 늘어난 2천937만 명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남부권 신공항 건설의 타당성을 입증한 것으로 앞으로 신공항 입지 선정 문제가 본격적인 국가적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그동안 대안으로 제시된 김해공항의 2015~2030년 사이 연평균 항공수요 증가율은 4,7%였으나 대구공항은 5.4%나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경제 타당성을 충분히 입증할 만큼 대구'경북의 잠재 항공 수요가 많다는 뜻으로, 이미 올해부터 저가항공사가 취항한 대구공항의 이용객이 상반기 동안 17.2%나 늘어난 것에서도 잘 나타난다.

신공항 건설은 이명박정부의 공약이자 영남권 주민의 숙원 사업이었으나, 경제 타당성 부족을 이유로 무산됐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정치권의 무성의와 대구'경북'울산'경남과 부산의 첨예한 대립을 내세워 국가적 사업을 지역 이기주의로 폄훼한 수도권의 집요한 방해가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막으려면 먼저 영남권의 긴밀한 협력과 합의가 필요하다. 유치전은 경쟁이 될 수밖에 없지만, 신공항 건설이 영남 전체의 상생을 위한 필수적인 사업이며 결과에 대해 깨끗이 승복한다는 공감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함께 정부도 신공항 건설의 타당성을 발표한 만큼 공정하고 투명한 경쟁이 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신공항 건설의 강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

신공항은 영남의 미래와 직결한 사업으로 대구를 비롯한 4개 시'도는 다시 시작한 부산과의 경쟁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먼저 중량급 있는 인사를 영입해 유치위원회를 재조직하고, 끊임없는 논리 개발을 통해 신공항 유치의 당위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시'도민의 적극적인 지지를 이끌어 내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힘의 바탕으로 삼아야 한다. 정당한 논리만이 부산과의 경쟁과 수도권의 '신공항 무용론'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정치권과의 일사불란한 협조체제도 중요하다. 대구와 경북'경남'울산의 전 국회의원과 시도지사가 상시 협의체를 만들어 사활을 건 노력을 할 때만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