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압성요실금 유발 과체중 안 돼요
방광 질환은 배변 활동과 생활방식, 식습관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환이다. 따라서 방광 질환을 예방하려면 평소 생활습관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는 스스로 방광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방광 건강 수칙 7계명'을 내놨다.
1.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자신에 맞는 체중을 유지한다
운동은 장을 튼튼하게 한다. 특히 걷기는 하체를 강화하고 골반을 지탱하는 근육을 발달시켜 방광 건강에 도움이 된다. 적정한 몸무게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과체중은 복압성요실금 등 방광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카페인 섭취량을 줄이고 술, 담배를 삼간다
알코올이나 카페인은 방광을 자극하고 이뇨 작용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술과 카페인이 많은 커피, 차 등은 되도록 줄이는 것이 좋다. 흡연도 방광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과음이나 흡연은 밤에 자주 소변을 보는 야간빈뇨나 요실금 등과 연관돼 있다.
3. 적절한 수분 및 섬유질을 섭취할 것
매일 6∼8잔의 물을 마시면 소변이 묽어져 배뇨에 도움이 된다. 섬유질은 장 운동을 도와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변비는 복통과 복부 팽만감, 불쾌감뿐만 아니라 잦은 소변을 유발할 수 있다.
4. 배뇨 일지로 배뇨 습관을 점검하기
배뇨 횟수와 배뇨량, 배뇨 불편감 등을 일지에 기록한다. 소변을 볼 때 불편함을 느끼거나 횟수가 늘어나는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적어둔 뒤 증상이 계속되면 전문의를 찾는 것이 좋다. 하루 소변 횟수가 8회를 넘거나 평소보다 화장실 가는 횟수가 잦아지면 점검이 필요하다. 또 밤에 소변이 마려워 2번 이상 잠에서 깬다면 야간뇨를 의심해봐야 한다.
5. 소변 참지 못하면 방광 훈련을
소변 양이 적은데도 참지 못하고 화장실로 가는 과민성 방광은 훈련을 통해 교정할 수 있다. 방광 훈련은 일정한 간격으로 시간을 정해 정해진 시간에만 소변을 누는 방식이다. 처음에는 짧은 간격으로 시작한 뒤 시간을 서서히 늘려가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6. 골반 근육 체조로 방광 및 골반을 강화시킨다
골반 근육은 수축을 통해 소변과 대변이 새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골반 근육 운동(케겔운동)을 꾸준히 하면 아래로 처진 방광과 요도를 제자리로 돌리고 요실금과 같은 방광 질환을 막을 수 있다. 케겔운동은 양 다리를 벌리고 해야 다리근육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 방귀를 참는다는 생각으로 항문을 위로 당겨 조이고 다섯까지 센 뒤 힘을 푼다. 수축할 때는 숨을 참지 않아야 하고 엉덩이나 아랫배에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7. 배뇨 관련 증상 발생 땐 조기에 전문의와 상담한다
방광 질환은 일상 생활을 불편하게 만들어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방치하면 다른 합병증도 동반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발생한 초기에 전문의와 상담하는 게 좋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