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신용 등급 개선돼도 높은 대출이자 계속 요구
중소기업들이 은행들로부터 '찬밥' 신세다. 재무건전성이나 신용등급이 개선됐음에도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은행으로부터 높은 대출이자를 물고 있어서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8년 말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꾸준히 내린 결과 국내 은행의 대출금리는 가파른 하향곡선을 탔다. 2009년 연 5.65%에 달했던 시중은행의 신규 대출금리는 2010년 5.51%, 2012년 5.4%, 지난해 4.64%로 하락한 데 이어 지난 6월 연 4.4%까지 떨어졌다.(표)
그러나 이 기간 중소기업은 금리 인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금융위기 후 주택담보대출 등 안정적인 가계대출 영업에 치중하면서 신규 가계대출 금리는 2009년 연 5.73%에서 지난 6월 3.94%로 내려갔다. 하락폭이 무려 1.79%포인트(p)에 달한다. 대기업도 같은 기간 연 5.61%에서 4.27%로 1.34%p 떨어졌다. 그러나 2009년 신규 대출금리가 연 5.65%로 가계대출 금리(연 5.73%)보다 낮았던 중소기업은 지난 6월 4.72%로 하락폭이 0.93%p에 그쳤다. 은행들은 대출 건전성에 초점을 맞춘 결과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의 재무건전성은 꾸준히 좋아지고 있다.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의 경우 2009년에는 대기업이 5.9%, 중소기업이 4.5%로 대기업이 크게 앞섰으나 지난해에는 대기업 4.6%, 중소기업 4.1%로 별 차이가 나지 않았다. 평균 신용등급도 대기업이 2008년 말 3.45등급에서 지난해 말 3.78등급으로 떨어진 반면에 중소기업은 4.8등급에서 4.39등급으로 높아져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이 때문에 은행들이 '보신주의'에 빠져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역의 한 금융기관 관계자는 "은행들이 이러한 대출관행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들의 비재무적, 비정량적 정보를 상시로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용 리스크의 변화를 파악해 돈을 떼일 염려가 없는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금리는 과감하게 내리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