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 1개에 20억" 엄두 못내는 청도군…주민이 만든 다리는 철거

입력 2014-08-05 10:56:25

큰 비만 오면 고립사태를 빚는 청도 운문면 신원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량 신설 등 해법을 두고 청도군과 펜션업주 사이에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계곡 건너편에는 펜션'캠핑장 14곳이 있다. 이곳 업주들은 하루속히 계곡을 안전하게 오갈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청도군은 장기적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에 따라 신원천에 교량 6곳을 신설할 계획이다. 하천 특성상 제방 공사를 우선 마치고, 주변 도로와의 연계성 등을 고려해 교량 건설에 문제가 없는 지역을 찾겠다는 것이다. 청도군 관계자는 "이를 위해 이미 2년 전부터 국토교통부에 일대 하천 전체를 교량 신설 예정지로 검토하고 신규 사업으로 건의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돈이다. 편입해야 하는 사유지 보상비를 제외하고도 다리 하나를 새로 세우는 데 최소 20억원이 든다. 막대한 국'도비 예산 확보의 실마리를 아직 찾지 못했다.

일단 이번 사고를 계기로 '비상대피로 확보'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역시 예산확보가 관건이다. 청도군 안전건설과 관계자는 "재해대책으로 단기간에 추진이 가능한 교량형식의 보도교 신설과 펜션을 연결하는 탐방로 개설을 소방방재청 등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업주들은 청도군이 하천구조물 위에는 아무것도 설치할 수 없다는 하천법에 얽매여 업주들이 사비를 들여 설치한 흄관(콘크리크관)조차 모두 철거했다며 고개를 내저었다.

이곳 업주들은 2007년 무렵 보 아래 일명 잠수교 위에 흄관 8개를 설치한 뒤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해 다리를 만들었다. 업주들은 "물 빠짐 문제도 없고, 어느 정도 비가 내려도 통행이 위험하지 않았는데, 청도군이 법상 문제가 있다고 해 2010년 철거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청도군이 교량 건설을 위해 부지편입을 요청한다면 업주들이 거부할 것이라는 우려도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한 펜션 업주는 "다리가 놓이면 땅값이 올라가는 데 반대할 이유가 없다. 보상 후 수용 등의 명확한 의견수렴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