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이 서울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7'14 전당대회에서 5선의 김무성(63'부산 영도구) 의원을 당 대표로 하는 지도부를 꾸렸다. 탈 없이 도중하차만 없다면, 2년 뒤인 2016년 제20대 총선 공천권은 물론 2017년 차기 대선 밑그림까지 그리게 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드러난 '탈(脫) 박근혜'라는 변화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7'14 전당대회에 나타난 당심과 여론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하나는 새누리당이 지금처럼 당리당략에 치우쳐서 민심(民心)을 보지 않고, 대통령이나 청와대 눈치만 보거나 그 뒤에 숨어서는 안 된다는 경고이고, 다른 하나는 집권 여당으로서 배고프고 불안한 국가와 국민을 위해 국회의원들 허리띠부터 졸라매고, 두렵지만 꼭 가야 할 길을 피하지 말라는 주문이다.
김무성 대표는 전당대회에서도 청와대에 할 말은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청와대 인사위원장이면서도 건전한 상식과 전문성을 갖춘 적임자를 천거하지 못하고 늘 문제를 일으키는 김기춘 비서실장에 대한 질책성 발언도 마다하지 않았다. 오직 국민만 바라보는 통치를 하지 않을 때는 청와대에도 쓴소리를 해야 하고, 또 무리한 요구나 덤터기로 대통령이 어려움에 처하면 과감하게 바람막이도 해주어야 한다. 청와대야 휘청거리건 말건, 우리 일 아니라는 방관자적 자세는 금물이다.
또 하나는 '무대'(김무성 대장)로 불리는 김무성 대표 특유의 친화력과 설득력을 기반으로 국가 혁신의 첫 걸음인 김영란법 원안을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 괜스레 사립학교나 국가로부터 단 한 푼의 보조금도 받지 않는 민간 언론사까지 김영란법의 적용을 받도록 하겠다는 새정치민주연합의 꼼수나 물타기에 동조하지 말아야 한다. 국민이 나라로부터 월급이나 연봉을 받는 공무원과 정치인의 부정부패와 비리를 더 이상 용납하지 않으려고 눈에 불을 켜고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김무성 대표는 '친박의 몰락'이니 '비박의 약진'이니 하는 계파 간 이익을 좇느라 좌고우면하지 말고 자유와 정의, 연대와 상생의 대한민국을 반드시 이루겠다는 사명감을 실천하길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