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주석, 朴대통령과 정상회담 이어 서울대 특강

입력 2014-07-05 09:14:14

임란 노량해전, 이순신-中장군 함께 전사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4일 아베 정부가 일본의 집단자위권 헌법해석을 변경하고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 담화 훼손을 시도했다는 것에 강한 우려를 표했다.

두 정상은 서울 성북동 가구박물관에서 비공식 특별오찬 중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적 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자위권 확대까지 추진해 우려스럽다는 점에 공감했다고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우경화에 집중하고 있는 일본에 강한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두 정상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헌법해석 변경에 대해 여러 나라가 우려를 표명하고 있고, 또 일본 국민의 절반 이상도 반대하고 있다며, 평화헌법에 더욱 부응하는 방향으로 방위 안보정책을 투명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데 공감했다. 또 일본이 고노 담화를 계승한다면서도 실상은 이를 훼손'폄훼하려 한다는데 유감을 공유했다.

두 정상은 일본의 대북 접근과 관련해, 인도주의 차원에서 납북자 문제 해결은 이해할 수 있지만 북핵을 이유로 부과된 제재 해제가 잘못 다뤄지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를 깨뜨릴 우려가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시 주석은 이날 서울대 특강에서 한'중 양국 간의 우호관계를 강조하고 일본의 과거사 도발에 대한 공조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한중 '공조 역사'를 특히 강조했다. 시 주석은 "중'한 양국은 역사상 위태로운 상황이 발생했을 때마다 항상 서로 도와주면서 극복했다"며 "400년 전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양국 국민은 적개심을 품고 어깨를 나란히 해서 전쟁터로 같이 향했고, 명나라 등자룡(鄧子龍) 장군과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함께 전사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또 "20세기 상반기 일본 군국주의자는 중국과 한국에 대한 야만적 침략 전쟁을 강행, 한반도를 병탄하고 중국 국토의 절반을 강점해 양국이 모두 큰 고난을 겪었다"며 "대일(對日)전쟁이 가장 치열했을 때 양국 인민은 생사를 다 바쳐, 힘을 다 바쳐 서로 도와줬다"고 일본을 겨누기도 했다.

시 주석은 서울 신라호텔에서 양국 경제인 등 4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중 경제통상협력 포럼'에서는 중'한 자유무역지대 구축을 제안했다.

시 주석은 기조연설에서 "중국과 한국은 좁은 바닷물을 사이에 둔 가까운 이웃나라"라며 양국 간 경제 통상 강화를 위해 자유무역지대 구축, 경제정책 공조, 통상'투자'재정'금융 협력 강화, 국제협력 심화 등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자유무역협정이 양국 간 통상협력을 더 높고 새로운 단계로 격상시키고 양국 국민에게 더 많은 복지를 가져다줄 것이다. 양측이 생산적인 태도로 박차를 가해 연말까지 합의를 이룰 것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에 앞서 연설에 나선 박 대통령도 한'중 경제협력 증진을 강조하면서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구상' 간에 연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