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켜라 4만5천 명" 인구 늘리기 사활건 성주군

입력 2014-06-30 10:26:14

지방 세수 감소 불이익…사무관·도의원 수도 줄어

성주군이 인구 4만5천 명 사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인구 증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눈에 띄게 인구가 늘지 않아 속앓이만 하고 있다.

2년 연속 인구 4만5천 명이 되지 않을 경우 성주군 입장에서는 여러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올해 말까지 인구 4만5천 명이 안 되면 현재 12개 행정부서가 10개로 줄어 5급 사무관 자리 2개가 사라지며, 2018년 지방선거 때부터 경북도의원도 2명에서 1명으로 줄어든다.

특히 주민세'취득세 등 지방세 수입도 감소한다. 인구 1명이 줄어들 때마다 54만여원의 지방교부세도 줄어드는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 반대로 인구가 늘면 1명당 연간 교부세 100만원 정도가 더 지급된다.

성주군 인구는 1994년 5만4천229명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해 2003년 4만9천355명으로 5만 명 선이 무너졌고, 지난해 분기별 평균은 4만4천969명으로 결국 4만5천 명 선마저 무너졌다. 올 3월 말 4만4천941명이었으며, 5월 말 4만5천21명으로 간신히 턱걸이를 한 상태다.

성주군의 인구 분포를 보면 60세 이상이 1만4천400여 명으로 32%를 차지하는 데 비해 10세 이하는 2천617명으로 5%가량에 불과하다.

성주군은 인구를 늘리기 위해 공공기관 및 기업체 등 직원들을 대상으로 성주군 주소 갖기 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귀농'귀촌자 대상 교육훈련'주택수리비'보조금 등을 지원한다.

결혼에서 임신까지 다양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출산장려정책으로 첫 임신축하금(10만원)과 출산축하금(30만원), 첫 돌맞이 축하금(20만원), 영아양육지원금(첫째 월 10만원, 둘째 월 20만원, 셋째 월 50만원, 넷째 이상 월 70만원) 등을 준다.

성주군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민'관의 모든 역량을 모아 인구 4만5천 명 선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목표"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