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안할래"… 높아진 문턱 잇단 고사

입력 2014-06-10 10:53:24

참여정부까지 후보 넓혀

안대희 전 국무총리 후보자가 전격 사퇴한 지 2주가 흐르고 있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후임 총리 후보자를 지명하지 못하고 있다.

내주 월요일인 16일부터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일정이 기다리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늦어도 이번 주중에는 총리 후보자를 내놓아야 한다.

적절한 타이밍을 놓쳤다는 점에서, 총리 인선을 통해 가닥을 잡을 수밖에 없는 박 대통령의 세월호 이후 국가개조 구상도 이미 상당 부분 빛이 바랬다는 지적도 나온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총리 인선이 지지부진한 것은 안 전 후보자의 낙마 이후 더 꼼꼼해진 검증작업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여권에서는 실질적인 국정 권한을 가진 '책임 총리'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협소한 인재풀에 의존한 인선작업이 문제라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여의도 한 정치인은 "검증에 시간이 걸린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인데 그렇다면 지난 보름여 동안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는 손 놓고 허송세월만 하고 있었던 것인지 궁금하다"고 했다. 다양한 인재풀에 대해 사전검증작업을 하지 않고 위에서 찍어주는 인사에 대해 검증동의서를 받은 후에야 검증해 온 지금까지의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총리 후보로 추천된 김희옥 동국대 총장과 김영란 전 대법관 등 일부 인사들은 아예 총리직을 맡지 않겠다며 고사했기 때문에 더 꼬이고 있다는 후문도 있다. 이 때문에 청와대에서는 지난 김대중'노무현정부 때 요직을 맡았던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 강철규 전 공정거래위원장 등으로 폭을 넓히고 있어 주목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