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기억을 오래 유지하고 싶어 한다. 특히 수험생들은 어떻게 하면 외운 것을 잊어버리지 않고 오래 유지할 수 있을지 항상 고민이다. 우리의 뇌는 정보나 지식을 외우는 순간 가장 잘 기억하지만 그 직후부터 잊어버리기 시작한다. 잊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행위가 동반되지 않으면 기억에서 인출할 수 없다. 사라지는 기억을 가장 잘 유지하려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학습을 반복하는 것이다. 즉 공부를 잘하는 방법은 선행학습이 아니라 복습에 달려 있다.
우편배달부에게 12시간 동안 타이핑을 가르친 실험이 있다. 첫 그룹의 사람들에게 6시간씩 이틀 동안 가르치고, 두 번째 그룹은 4시간씩 사흘 동안, 그리고 마지막 그룹은 하루에 한 시간씩 12일 동안 가르치며 진행을 하였다. 그중에서 어느 그룹이 배운 것을 가장 오래 기억으로 유지할 수 있었을까? 당연히 마지막 그룹이다. 독일의 심리학자 에빙하우스는 인간의 기억유지와 관련하여 '간격효과' 현상을 밝혔다. 같은 양의 정보를 시간 간격을 두고 몇 번에 걸쳐 학습하는 것이 짧은 시간 내에 집중적으로 반복하는 것보다 기억에 훨씬 오래 남고 인출이 용이하다. 벼락치기 공부는 그다지 효율적인 학습법이 아닐뿐더러 기억에 오래 남아있지도 않는다. 벼락치기로 시험 점수가 잘 나왔다고 하더라도 당장의 결과에 만족하지 말아야 한다.
얼마 전 '선행교육 규제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선행학습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미리 배우면 다시 배울 때 훨씬 더 잘 이해할 것이고, 한 번이라도 더 복습하게 될 것이라는 어른들의 기대감 때문이다. 그런데 부모가 기대하는 대로 행동할지는 자녀들의 마음에 달려 있다. 요즘 중, 고생들이 다니는 유명한 학원의 경우 한 과목을 하루에 3, 4시간씩 가르쳐 주는 곳도 있다고 한다. 물론 쉬는 시간이 있겠지만 그런 식의 학습은 주의력과 기억력 유지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뇌는 발달 단계가 있는데 그 나이에 비해 너무 많은 지식을 뇌에 집어넣을 경우 초기에는 잘 받아들이는 것 같아도 심리적인 부담이 점점 증가하고 동기는 부족하게 된다. 동기가 부족하게 되면 자연히 주의력은 저하되고 정보를 받아들이고 기억에 저장할 수 있는 능력 또한 함께 떨어진다.
기억을 오래 유지하는 비결은, 단순 암기식의 반복학습이 결코 아니다. 심리학에서는 '깊은 수준에서의 처리'라는 기억 이론이 있다. 즉 받아들이는 정보의 의미를 깊숙이 처리하게 되면 더 잘 기억되고 인출이 더 용이해 진다는 것이다. 지금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운 내용을 반복해서 공부해보자. 그렇게 하면 기억에 오랫동안 남아있고 인출 또한 훨씬 쉬워질 것이다.
윤은영<한국뇌기능개발센터(구 한국뇌신경훈련센터) 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