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삼성SDS가 연내 상장추진 계획을 밝힌 데 이어 삼성에버랜드가 이달 4일 이사회에서 내년 1분기에 상장을 추진하기로 결의하는 등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이슈가 또다시 부상하는 모습이다. 이는 2,000포인트(p) 선을 넘나들고 있는 코스피(KOSPI)의 방향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시장, 업종, 종목별 주가 차별화 현상을 더욱 자극하는 이슈가 될 수 있다.
삼성그룹 종목들의 시가총액 비중이 지난 3월 25%대에서 최근 28%대로 눈에 띄는 증가세를 나타낸 바 있다. 특히 지난 5월 이후 증시에서 상대적 상승률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삼성그룹 주와 여타 종목군과의 주가 차별화 현상은 더욱 심화할 가능성 있다. 또 다른 증시 판단의 중요 이슈는 기관의 수급을 좌우하는 펀드 환매라 할 수 있다.
2,000 포인트를 상회하면 투신권 매도로 대표되는 펀드 환매 압력이 강해진다. 비록 주식형 펀드의 환매는 꾸준히 일어나고 있지만 절대 규모가 줄어들고 있다. 현재와 유사한 속도로 펀드 환매가 일어난다면 6월 중 주식형 펀드의 환매는 둔화될 수 있을 전망이다.
다음 주는 선물'옵션만기까지 겹치면서 시장의 변동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당분간 국내증시는 삼성그룹 주를 위주로 한 지배구조 관련주로 매매하면서 경기민감 대형주가 낙폭이 커질 때마다 분할 매수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김광수 교보증권 서문지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