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직 박탈·횡령…둘다 똑같니뎌"
"둘 다 똑같니뎌. 윤경희는 군수 되자마자 (선거법 위반 등으로) 붙잡히가 그만두꼬, 한 군수는 이번에 뭐? 횡령? 군수 선거 할 때마다 탈이 생기고 그런기라. 투표 해야 되니껴?"
28일 장이 선 청송군 진보면. 49세 자영업자라는 김모 씨는 혀를 끌끌 찼다. 장을 보던 신모 아주머니는 "앞에서는 깨끗한 칙 하믄서 뒤에서 거 무슨 꼬라진고…"라며 말을 받았다. 인구 2만6천 명 중 2만3천 명이 유권자인 청송군은 두 후보에 대한 실망감과 염증을 숨기지 않았다.
새누리당은 청송군수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당원(50)과 여론조사(50)로 공천한다고 했다가 여론조사 경선으로 바꿨고, 무공천으로 번복했다. 청송을 지역구로 한 김재원 새누리당 국회의원(중앙당 공천관리위 부위원장)에게 반감을 표시하는 주민도 있었다.
한동수 무소속 후보의 사무실을 찾았다. 다음날 있을 TV토론회 준비 중이었다. 윤경희 무소속 후보의 비방이 심하다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관사를 썼기 때문에 집이 따로 없었습니다. 작년에 금곡동에 땅을 샀는데 집을 지어서 살려고 합니다. 저는 노모와 아내랑 함께 살았는데, 윤 후보는 혼자 와 삽니다, 가족은 포항에 있고. 누가 진짜 청송에 살고 있는 겁니까?"
"윤 후보는 2007년 선거법 위반과 횡령으로 군수직을 박탈당한 사람입니다. 이번 건은 아직 조사 중이고 법정에서 가려질 겁니다. 복권된 것은 죗값을 치른 것이지, 죄가 없어진 게 아닙니다."
군민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은 '각서'의 존재 여부였다. 윤 후보가 선거법 위반으로 군수직을 상실한 뒤 한 후보가 재선거로 군수가 돼 재선까지 했다. 이 과정에서 한 후보가 '윤 후보가 출마할 경우 불출마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썼다는 이야기가 돌았고 진실 공방으로 이어졌다. 윤 후보는 "각서를 동생이 분명히 가지고 있다"고 했고, 한 후보는 "각서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읍내 한 새마을금고 사무실에서 윤경희 무소속 후보를 만났다. 인터뷰 대부분을 한동수 후보를 겨누는 데 썼다. 중간 중간 "이거는 비방이 아닙니다"라며 어깨를 으쓱했다.
"한 군수가 사글세 사는 거 압니까? 명색이 군수인데 집도 없습니다. 떨어지면 다 털고 떠나겠다는 거 아닙니까?"
"한 군수가 이번에 공직선거법 위반과 업무상 횡령으로 기소된 거 아시죠? 군청 사무용품 비용을 많이 주고 되돌려 받는 방법으로 1천900만원 예산을 빼돌렸고, 이 중의 일부는 지인들에게 경조사비로 줬다고 합니다. 치졸하지 않습니까? 이쯤에서 한 후보는 사퇴해야 합니다."
양자대결, 여론은 쪼개지고 있었다.
한 아주머니는 "한 후보가 군정을 무난하게 이끌어 간 것 같다. 관광객도 늘어난 것 같고, 최근 10년간 사과값도 좋았다"며 한 후보를 지지했다. 박모(51) 씨는 "한 후보가 윤 후보보다 여론은 좋았다. 요즘 (횡령 등) 나쁜 일이 생겨 고개를 갸우뚱하는 어르신들이 계시지만 대세에는 영향이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모(57'부남면) 씨는 "윤 후보는 권위적인 느낌이 없고, 친근하다. 한 후보는 윤 후보보다 말도 잘하고 똑똑해 보이지만, 서민적인 냄새는 나지 않는다"고 했다.
두 후보의 뒤에 전'현직 국회의원이 겹친다. 3월 말 윤 후보 선거사무실 개소식을 찾은 김재원 의원은 "내가 봤을 때 윤경희 후보가 이제 군수 할 때가 됐다"는 발언을 해 선관위로부터 구두경고를 받았다. 한 후보는 정해걸 전 국회의원과 가까워 김 의원과는 데면데면한 사이라는 말들이 퍼져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