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공문, 1명이 하루 2,3차례 강의…정작 소방서엔 최소 인력
세월호 침몰 참사 이후 학교마다 안전교육 요청이 봇물을 이루면서 대구'경북지역 소방서가 몸살을 앓고 있다. 최소 인력만 남겨두고 대부분 소방대원들이 교육을 나가다 보니 정작 화재나 사고 발생 시 대응 시간이 늦어진다는 걱정스러운 목소리까지 나온다. 교육청이 '안전교육 후 결과 보고'를 요청하는 공문을 각급 학교마다 쏟아 보내면서 빚어진 현상이다.
안동소방서 경우, 안전교육 요청이 쇄도하면서 소방대원 1명이 하루 2, 3차례나 안전교육 강사로 나서고 있다. 안동소방서에 따르면 세월호 사고 이전보다 안전교육 요청이 10배 정도 폭증했고, 최근에는 학교뿐만 아니라 관공서'일반기업들의 요청까지 쇄도하고 있다. 종전에는 현장 교육이나 소방서 방문이 한 달에 2, 3건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25~30건에 이른다.
특히 안동소방서와 거리가 다소 떨어진 영양'청송지역에서 안전교육 요청이 오면 본서에서 교육할 수 없는 탓에 지역센터로 이관한다. 그러나 최소 인력이 배치된 소규모 지역센터에서 교육을 모두 감당하기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른다. 결국 본서 인력을 동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소방서에 최소 인력만 남아있다 보니 화재나 사고가 발생하면 교육을 진행하다가 현장으로 곧바로 출동하는 경우도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대형 재난 발생에 대한 대비책을 교육하다가 예전보다 출동 시간이 지연돼 오히려 피해를 키울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는 상황이다.
소방관들은 "실질적 교육이 돼야 할 학생들의 안전교육을 갑자기 소나기 내리듯 실적 채우기로 해서는 곤란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 소방관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이 아니라 평소 충분한 준비와 함께 주기적'반복적인 교육이 이뤄져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경북교육청 등 교육 당국은 "연간 44시간 이상 실시해야 하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안전교육 계획의 연장 선상에서 이뤄진 것"이라며 "세월호 참사 이후 학생들에게 생활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기 위해 안전교육을 강화하면서 빚어진 일"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