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신 전환' 논란, '경선 불복' 사태

입력 2014-04-30 10:49:08

6'4 지방선거 새누리당 후보 공천을 위한 여론조사 과정에서 휴대전화 착신 전환을 둘러싼 논란이 숙지지 않고 있다.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조작 가능성이 높은 휴대전화 착신 전환을 여론조사 대상에서 배제했지만 일부 지역에서 이 같은 방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기 때문이다.

◆상주는 경선 불복 논란

시민 여론조사로 후보 공천을 하기로 한 상주는 경선 불복 사태로 시끄럽다. 상주시장 새누리당 후보로 현 시장인 성백영 예비후보가 확정된 데 대해 이정백 예비후보 측이 경선 무효를 주장하며 강하게 맞섰다.

두 후보가 합의해 착신 전환된 전화를 여론조사에서 배제하기로 해놓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게 이유다. 이 예비후보는 대구지법에 경선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냈고, 25일 성백영 예비후보 지지자가 사전 선거운동 혐의로 구속되자 서울 남부지법에 '상주시장 공천 금지 가처분신청'을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문제가 될 상대 후보의 착신 전환 등의 사례는 제시하지 못했다. 오히려 여론조사 전날인 13일 이정백 예비후보 선거사무실 번호로 '일반전화는 다른 일반전화로 착신 전환하고 부득이할 경우에 휴대전화로 착신해 여론조사에 응답하라'는 내용의 문자메시지가 발송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정백 전 예비후보는 "법원 가처분신청은 내가 한게 아니어서 내용은 잘 모른다"고 말했다.

김태환 새누리당 경북도당 위원장은 "공천의 불공정 판단은 당헌'당규에 따라 당 공심위가 해야 할 사안인 데 이 전 후보가 공천과 관련한 문제를 사법부로 몰고 가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성백영 후보 공천은 하자가 없다"고 말했다.

◆착신 전환 전화도 여론조사 포함돼

울진 지역은 군의원 경선 과정에서 착신 전환된 전화가 여론조사 대상에 포함돼 논란이 일고 있다. 29일 오후 6시 40분쯤 A(55'울진군 기성면 사동) 씨 휴대전화로 모 여론조사업체의 전화가 걸려왔다. 여성 상담원은 A씨에게 울진군의원 다선거구(근남'원남'기성'평해'온정'후포면)의 새누리당 공천후보 결정을 위한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집 전화를 휴대전화로 착신 전환 해둔 A씨는 "경북도당에서 휴대전화 착신 전환을 금지한다고 밝혔는데 왜 착신 전환된 전화가 여론조사에 포함됐냐"고 상담원에게 물었다. 해당 상담원은 "대구의 경우 집 전화인지 휴대폰인지 질문해 휴대폰이라고 답하면 여론조사를 하지 않지만 경북지역은 휴대폰 착신 전환 여부를 따지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새누리당 경북도당의 방침을 노골적으로 어기고 있는 셈이다. A씨는 "휴대전화 착신 전환은 조직적인 여론조작 의혹을 살 수 있다"면서 "이런 식이라면 전화 여론조사 경선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잃어 탈락한 후보들이 반발을 부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울진군의원 다선거구의 여론조사 경선은 당초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여론조사 업체에서 업체당 400명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기로 했지만 1곳만 여론조사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경북도당 관계자는 "전화 여론조사를 의뢰하면서 휴대폰으로 착신 전환되는 조사 대상자는 제외하라고 업체에 주문했다"고 주장했다.

울진 강병서 기자 kbs@msnet.co.kr

상주 고도현 기자 dor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