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조로 푼 한시] 偶吟 (우음) / 일암 신몽삼

입력 2014-04-17 14:08:50

성리학은 인간 윤리를 가르친다. 사서삼경을 비롯해 대체적인 외과서(外科書)들도 한결같이 이 같은 윤리를 가르친다. 인간의 기본 윤리를 모르고 인간이라 할 수 없기 때문일까. 소학이나 명심보감, 심지어는 천자문까지도 인간의 기본 교훈을 기초로 가르치고 있다. 이런 윤리의식을 시문으로 일굴 때 서정성보다는 교훈성 시문이 무르녹는다. 교훈적인 내용을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나 자신 옳고 그름 돌아볼 줄 알아야 하고

남의 장단 시비일랑 말하지들 말아야지

잎 지듯 나쁜 생각 떨치고 착한 마음 길러야지.

心有是非知己反 口無長短及人家

심유시비지기반 구무장단급인가

消除惡念霜前葉 培養善端雨後茅

소제악념상전엽 배양선단우후모

【한자와 어구】

心有: 마음에 두다. 是非: 옳고 그른 것. 知己反: 자기를 돌아볼 줄 알다. 口無: 입으로 ~하지 말라. 長短: 장단점. 及人家: 다른 사람에 미쳐서는. // 消除: 떨쳐버리다. 惡念: 나쁜 생각. 霜前葉: 서리 앞에 낙엽 지듯. 培養: 배양하다. 善端: 선한 일. 雨後茅: 비 온 뒤에 띠가 자라듯이.

'서리 앞에 잎 지듯이 나쁜 생각 떨어내고'(偶吟)로 제목을 붙여본 칠언절구다. 작가는 일암(一庵) 신몽삼(辛夢參'1648∼1711)이다. 1675년 증광시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나 자신 옳고 그름 돌아볼 줄 알아야 하고/ 남의 장단 이러니저러니 말하지 말아야지// 서리 앞에 잎 지듯이 나쁜 생각 떨어내고/ 비 온 뒤에 띠(풀) 자라듯 착한 마음 길러야지'라는 시상이다. 이 시제는 '그냥 한번 읊어 봄'으로 번역된다. 신몽삼은 주희와 이황의 학문에 몰두했다. 학덕과 인품이 훌륭하여 조정에서 여러 번 천거를 받아 '황산도찰방'익위사세마' 등에 임명되었지만 나아가지 않았다.

그의 저서 '일암집'(一庵集)에서 전하는 위 작품을 발췌했는데, 이 시는 평상시 깊이 생각하고 있던 바를 서술한 순수 교훈시(敎訓詩)의 성격이 짙다. 사람들은 자신의 처지는 알지 못하고 남의 삶에 대해 이러니저러니 먼저 말하는 경향이 있다. 이 시에서 시인은 적절한 비유법 두 가지를 만나게 되는데 '서리 앞에 잎 지듯이, 비 온 뒤에 풀 자라듯이'라는 직유법이 그것이다. 그래서 자기의 나쁜 생각을 떨쳐버리고, 착한 마음을 길러야 한다고 가르친다.

남송대의 주희 학문의 원류가 그렇고, 이 학문의 맥을 정통으로 이어받는 퇴계의 학문 또한 인간 윤리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가르친다. 예나 이제나 선한 생각으로 행동하라는 가르침은 모두 같았던 것 같다.

신몽삼(1648~1711)은 조선 후기 유학자다. 자는 성삼(省三)이고 호는 일암(一庵)이다. 본관은 영산(靈山)이고, 출신지는 경남 창녕이다. 어려서부터 외삼촌 송정현(宋廷賢)에게서 글을 익혔으며, 자라서는 족조(族祖) 신민행(申敏行)의 문하에서 깊이 공부했다.

1675년(숙종 1년)에 증광시 생원 3등 16위로 합격한 뒤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오롯이 학문에만 전념했다. 특히 주희(朱熹)와 이황(李滉)의 학문에 몰두했는데 학덕과 훌륭한 인품으로 조정에 여러 번 천거를 받았다. 황산도찰방(黃山道察訪)·익위사세마(翊衛司洗馬)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저서로 '일암집'(一庵集)이 있다.

장희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시조시인·문학평론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