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지 말고 메모하자…클라우드 기반 메모앱 '에버노트'
약속이 많고 기억할 것도 많은 현대인들은 메모를 많이 한다. 물론 스마트폰마다 메모 앱이 기본적으로 설치돼 있다. 하지만 인터넷을 기반으로 PC와 스마트폰 간 메모를 실시간으로 동기화시켜주는 클라우드 기반의 메모 앱을 사용하면 더 편리하다. 오늘은 '에버노트'와 '네이버 메모'를 소개한다. 두 앱 모두 사용하기 전에 계정을 만들어야 하며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 사용자 모두 이용 가능하다.
에버노트와 네이버 메모의 장점은 PC와 스마트폰이 서로 동기화가 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 적어 놓은 메모들을 일일이 PC로 옮기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하면 그 내용이 에버노트 서버에 보관이 된다. 또 추가로 작성할 때마다 자료가 동기화돼 다른 기기에서도 전에 작업한 내용을 이어서 작업할 수 있다. 실수로 지워버린 메모들을 휴지통에서 쉽게 복원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에버노트는 오프라인과 클라우드 기반에서 모두 쓸 수 있다. 여러 대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동일한 계정을 이용해 설치할 수 있고 더 많은 곳에 설치할수록 에버노트의 효과는 극대화된다. 에버노트의 주요 기능은 문자뿐 아니라 모든 형태의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간단한 메모부터 사진 삽입, 표, 하이퍼링크, 음성 메모, 웹 메모 서비스까지 지원하기 때문이다. 특히 '웹클리핑' 기능은 업무 특성상 웹페이지의 신문 기사나 주요 자료들을 모아 두었다가 작업을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아주 유용하다. 웹서핑을 하다가 마음에 드는 홈페이지가 있으면 마우스 클릭 한 두번만 해 에버노트에 저장하면 된다. 또 회의 과정을 녹음으로 남길 때도 에버노트만큼 멋진 앱이 없다.
에버노트 이용자들끼리 메모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자.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오른쪽에 있는 '노트북 공유' (Share Notebook)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그러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곳으로 이동하고, 웹을 통해 접속 가능한 노트북으로 가는 공개 링크를 만드는 곳으로 이동된다. 초대받은 사람은 공유된 노트북을 앱 왼쪽 검색판 공유 탭 아래에서 찾을 수 있다.
에버노트는 클라우드 기반의 앱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용량이 정해져 있다. 가입할 때 사용자에게 한달 60MB 업로드 용량을 무료로 제공하며, 이 용량은 매달 갱신된다. 60MB라고 하면 작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메모 용량이 작다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불편할 정도는 아니다. 또한 이 용량은 업로드 용량이므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은 더 크다.
네이버 메모는 네이버 아이디만 있으면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메모별 폴더 관리나 PC에서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메모의 색상 변경이나 폴더 관리 등 국내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기능들이 많다. 간단한 메모 위주로 이용한다면 네이버 메모를, 업무상 다양한 컨텐츠의 메모를 해야 한다면 에버노트를 추천한다.
▶'KT IT서포터즈'=KT 직원으로 구성된 IT 지식기부 봉사단으로 전국 23개 지역에서 2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문의 1577-0080.
자료제공 KT IT서포터즈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