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울리는 가산금리 인상…은행들 이익 줄자 '횡포'

입력 2014-03-18 10:13:31

저신용층 인상폭 2.32%P…부유층엔 되레 깎아주기도

은행들이 이익이 줄어들자 대출 가산금리를 일제히 올리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최근 1년간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 방식)의 가산금리를 최고 0.63%포인트(p) 인상했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금리에 붙는 것으로서 은행의 마진, 대출자의 신용도, 담보가치 등을 고려해 인상하는 이자분이다.

한국SC은행, 한국씨티은행 등 외국계 은행의 가산금리 인상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SC은행의 지난달 가산금리는 평균 0.98%로 1년 전보다 0.33%p가 올랐다. 씨티은행의 평균 가산금리도 0.32%p 상승한 0.97%다. 국내 시중은행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0.19%, 신한은행이 0.06%, 우리은행이 0.03%씩 가산금리를 인상했다. 광주은행이 가산금리를 0.63%p나 올렸으며 대구은행(0.13%)과 부산은행(0.11%)도 가산금리를 높였다.

특히 소득이 적고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층 위주로 가산금리가 인상돼 저신용층인 7~10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최고 2.32%p에 이르는 반면 1~3등급은 최고 인상폭이 0.33%p에 불과했다.

저신용층 가산금리를 2.32%p 인상한 수협은행은 고신용층 가산금리를 0.02%만 올렸다. 신한은행도 고신용층 가산금리를 0.06%p만 올리면서 저신용층 가산금리는 0.23% 인상했다.

우리은행과 경남은행의 경우 저신용층 가산금리를 0.19%p와 0.03%p씩 높인 것과 반대로 고신용층 가산금리는 0.01%p와 0.04%p씩 깎아줬다. 서민층을 상대로 한 가산금리 인상 강도는 담보가 없는 개인신용대출에서 훨씬 더 셌다.

신용대출 가산금리를 0.10%p 인상한 외환은행은 고신용층의 가산금리를 0.30%p 내린 대신 저신용층의 가산금리를 0.24%p 올렸다. 전북은행은 저신용층 가산금리가 9.89%p에 달했다. 기준금리 3.60%를 더한 대출금리가 13.49%로 기준금리보다 가산금리가 더 컸다.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인상하게 된것은 수익성 악화때문으로 설명하고 있다. 저금리로 주요 수입원인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하자 어쩔 수 없이 가산금리를 올렸다는 것. 실제 4대 금융지주사의 NIM은 지난해 1분기 1.99~2.73%에서 3분기 1.90~2.55%로 하락했다.

그러나 4분기에 이들 지주사의 NIM이 1.92~2.57%로 반등했다는 점에서 단순히 NIM 하락만 가산금리 인상의 명분으로 삼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에 맞추려고 신용도가 가장 좋은 고객에게 적용시키는 우대금리를 줄이다 보니 가산금리가 높아진 측면이 있다. 부자들에게는 잦은 금리를 적용하고 서민들에게는 높은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셈이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