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의 구조 "빛도 빠져나오지 못해… 우주의 신비!"

입력 2013-12-20 22:04:40

블랙홀 구조에 대한 누리꾼들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초질량 블랙홀이 발견돼 화제다.

지난 5일(현지시각)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우주망원경 '누스타'로 촬영한 사진에서 수억 광년 떨어진 은하계 왼편에 있는 10개의 블랙홀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블랙홀은 크게 특이점과 사건의 지평선으로 구성되며, 태양보다 질량이 20배 이상 큰 중성자 별이 죽을 때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다. 또, 이때 핵이 중앙의 한 점으로 급격하게 수축해 부피가 없고 질량만 있는 특이점이 만들어진다.

특이점 주변 3km 이내 생기는 공간이 블랙홀이다. 이 공간은 빛의 속도로도 빠져나올 수 없으며, 빛이 탈출할 수 없는 경계면을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한다.

한편 해당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블랙홀 구조, 어떻게 촬영하는 건가요?", "사람을 흔히 우주와 같다고 하지만 우주는 정말 미지의 세계네요", "죽기전에 우주 가보는게 소원인대! 블랙홀 너무 신비롭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뉴미디어부02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