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공공기관 청렴도 낙제…대구 1등급 없고 경북은 봉화군 유일

입력 2013-12-20 11:04:42

대구경북 공공기관의 청렴도는 낙제점을 면치 못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전국 653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렴도 조사에서 대구시와 경북도 모두 하위권을 맴돌았기 때문이다. 지난해에 비해 낙폭도 커서 대구는 2위에서 10위로, 경북도는 5위에서 14위로 떨어졌다. 특히 대구과학관 채용 비리와 이우석 전 칠곡부군수 구속 등 비위 공무원들이 잇따라 적발된 점이 감점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초단체들의 청렴도도 일부 시'군을 제외하면 못믿을 수준이다. 구별로는 대구 남구(8.02점)와 달서구(7.99점), 동구(7.94)가 각각 10위와 14위, 23위에 올라 2등급에 포함됐다. 반면 대구 서구(7.43점)와 북구(7.43점)는 전국 65개 구청 가운데 나란히 59위에 머물렀다.

경북 지역 시 단위 중에서는 경주시와 김천시가 종합청렴도 각각 7.75점과 7.68점으로 2등급에 포함됐다. 반면 포항시는 7.13점으로 전국 75개 시 가운데 69위에 그쳤다. 경산시의 청렴도도 7.28점으로 4등급에 포함됐다.

군 단위에서는 봉화군(8.05점)이 5위에 올라 1등급에 분류됐다. 군위군(7.84점)과 고령군(7.84점), 청송군(7.70점) 등도 2등급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영덕군(6.72점)은 83개 군 단위 가운데 82위로 최하 수준에 머물렀다. 영덕군은 외부청렴도와 내부청렴도에서 모두 점수가 낮았다. 울릉군은 종합청렴도에서는 3등급이었지만 내부 청렴도는 전국 최하 수준이었다.

지방공사 중에서는 대구도시철도공사의 종합청렴도가 8.15점으로 2등급에 분류됐다. 반면 대구도시공사는 종합청렴도 7.52점으로 30위를 기록, 4등급에 포함됐다.

대구시교육청의 청렴도는 7.54점으로 전국 2위였고, 경북도교육청(7.21점)은 11위로 하위권이었다. 대구시교육청은 금품 수수 시 바로 공직에서 배제하는 제도인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시행하면서 적용 기준 금액을 30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하향 조정했고, 학교 운동부 코치 청렴 등급 제도를 도입했다. 학부모와 시민이 참여하는 부패 통제 시스템과 인사 모니터링 실시 등 반부패 제도도 마련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민원인 16만5천191명과 기관 소속직원 5만6천284명, 학계 전문가와 지역민 등으로 구성된 정책 고객 1만8천5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공공기관의 종합 청렴도는 10점 만점에 7.86점이었으며 경찰청이 6.86점을 받아 꼴찌를 차지했다. 검찰청과 국방부도 각각 6.91점과 7.12점을 받으며 5등급에 머물렀다. 반면 통계청은 지난해보다 0.14점 오른 8.33점으로 전체 종합기관 중 청렴도 1위를 기록했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충남도가 6.74점으로 최하위, 서울시가 7.64점으로 최고점을 받았다. 공기업 중에서는 원전비리 의혹이 일었던 한국수력원자력이 7.65점으로 꼴찌를 기록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채정민기자 cwolf@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