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과 한숨도 잊자, 술잔 속에 꿈을 띄워 부르자'
나라의 주권을 제국주의에게 강탈당하고 우리 민족은 얼마나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는지 모릅니다. 의식주의 기본권조차 누릴 수 있는 기회와 권리를 잃어버린 채 얼마나 고통스러운 세월 속에 허덕였을까요? 그 무렵 삶의 고달픔과 근심을 잠시나마 잊게 해주는 도구로는 오로지 술뿐이었습니다. 하지만 술을 담그는 재료인 곡식조차 집에 없으니 어쩌다 대면하는 술은 너무나 귀하고 소중한 보물이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박목월(朴木月'1916∼1978)의 시 '나그네'의 한 구절인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은 너무나 비현실적인 표현이었는지도 모릅니다.
예부터 술을 일컬어 '망우물'(忘憂物)이라 했습니다. 즉 시름을 잊어버리도록 도와주는 물건이라는 뜻이지요. 조선중엽에 엮은 시조집 '동가선'(東歌選)을 읽다 보면 술과 근심의 밀착된 상호관계를 엮어놓은 흥미로운 작품이 눈에 띕니다.
술은 언제 나며 수심(愁心)은 언제 난고/ 술 난 후 수심인지 수심 난 후 술이 난지/ 아마도 술 곧 없으면 수심 풀기 어려워라
작가 이봉구(李鳳九'1916∼1983)도 자신의 '시들은 갈대'란 소설작품에서 '요즘 같은 시절에 술 없이 어찌 마음을 지탱할 수 있겠느냐? 술은 곧 마음을 잡는 약수와도 같은 게다'라고 해서 험한 세월에 술의 덕으로 상처받은 마음을 겨우 지탱하고 살아간다는 말을 했습니다. 식민지 시절이 바로 그런 시절이었습니다.
이 무렵 술집을 다루고 있는 명편(名篇) 가요들이 몇 곡 나왔었지요. '선술집 풍경'(김해송), '항구의 선술집'(김정구), '술집의 비애'(김복희) 등의 구성진 가락들이 떠오릅니다. 그런데 여기다 진정한 한 편의 술집 테마 노래를 결코 빠뜨릴 수 없으니 그것은 김봉명이 불렀던 '아리랑 술집'입니다.
추억도 맡아주마 미련도 맡아주마/ 어스름 하룻밤을 술집에 던지고
잔 속에 노래 실어 부르자 부르자/ 아리랑 아리랑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술잔은 몇 굽이냐
눈물도 이리 다오 한숨도 이리 다오/ 조각달 내 신세를 타관에 뿌리고
잔 속에 꿈을 띄워 부르자 부르자/ 아리랑 아리랑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눈물은 몇 섬이냐
-'아리랑 술집' 부분
가수 김봉명(金鳳鳴'1917∼2005)이 부른 이 노래의 가사를 가만히 음미해보노라면 그 힘든 시절에서도 삶의 여유와 의젓한 배포가 느껴집니다. 시적 화자가 지금 머물러 있는 허름한 술집에서는 쓰라린 추억도 애달픈 미련도 술을 마시는 동안만큼은 모두 맡아줍니다. 흥미로운 대목은 각 소절의 끝 부분인 '아리랑 술잔' '아리랑 눈물' '아리랑 고개'입니다. 여기서 '아리랑'으로 표현된 본뜻은 우리 국토와 민족입니다. 2절에서는 우리가 그동안 흘린 눈물이 대체 몇 섬이나 되느냐라고 식민지 백성의 삶과 고통의 사연을 웅변적으로 되묻고 있습니다. 김봉명이 발표한 노래가 모두 9곡밖에 되지 않는데 그 적은 분량의 노래 가운데 이러한 명곡이 들어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합니다.
우리에게 그리 친숙하지 않은 김봉명은 1917년 경남 마산에서 출생했습니다. 본명은 김용환(金龍煥)인데 그가 빅타레코드사에 처음 전속이 되어서 입사했을 때 포리도루레코드사에서 같은 이름의 선배음악인 김용환(1909∼1949)이 이적해 와서 결국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 예명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빅타레코드사는 황금심(黃琴心'1912∼2001)과 박단마(朴丹馬'1921∼1992)라는 간판격 여자 가수는 있었지만 남성 가수진이 부족했습니다. 그리하여 1938년 대구에서 신인콩쿠르를 열었는데 그때 1등이 정근수(鄭槿秀), 2등이 김봉명이었습니다. 정근수는 가수 정훈희(鄭薰姬)의 부친으로 빅타에서 1939년 '가거라 청색차'란 노래를 취입했으나 반응이 좋지 않아 그 길로 가수생활을 접고 연주자의 길로 진로를 바꾸었지요. 그 음반의 다른 쪽 면에는 김봉명의 '깨여진 단심(丹心)'이 실렸습니다.
영남대 국문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