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2016학년도 대입 제도와 2015학년도 대입 전형 기본사항'이 최근 확정됐다. 교육부의 의도는 분명하다. 대입 전형을 대폭 간소화하되 모든 전형을 학교 교육과정의 틀로 끌어들이겠다는 것이다.
입학사정관전형은 이름을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바꾸되 학생부 기재의 충실도와 평가의 전문성을 높임으로써 오히려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논술 역시 교육과정의 범위라면 허용한다는 뉘앙스다. 수능은 어차피 교육과정의 범위에 있으니 문제될 게 없다고 보면 결국 입시 대비의 관건은 학교 교육과정이다.
앞서 발표된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이나 지난해 12월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 역시 같은 의도를 담고 있다. 자사고의 선발권을 없애고 특목고나 자사고에서만 운영되던 심화과목들을 일반고에서도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줌으로써 교육과정의 차이를 거의 없앴다.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의 성격을 놓고 보면 지역과 학교, 개인의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이 '차이'의 출발점이 되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대학들이 대학과 모집단위의 특성에 따라 학생의 차이를 평가하면서도 지원자의 지역과 학교 차이까지 충분히 고려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결론은 마찬가지로 학교 교육과정이다.
교육부가 학생부 중심 전형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지만 학생부가 곧 내신이라는 생각은 바뀌어야 한다. 2015 대입전형 기본사항을 보면 전형요소 가운데 학생부 자료 활용에 단서가 붙어 있다. '특목고 졸업 예정자 또는 졸업자가 동일계 특별전형에 지원할 경우에 한해 해당 고교의 특성과 교육과정 특징을 반영함'이라는 내용이다. 이미 존재하는 '차이'는 인정한다는 것이다. 2017학년도에는 이 단서가 모든 일반고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그렇게 되면 자신이 다니는 학교의 교육과정이 얼마나 다양하게 편성됐는지가 대입의 성패를 가르는 기준이 된다.
결국 최근 발표된 일련의 교육 정책들은 학교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에 따른 차이를 대학입시에 반영함으로써 학교 교육이 정상화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학교별로 학생의 꿈과 끼를 빛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 운영할지에 대해 학교 구성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때다.
김기영 매일신문 교육문화센터 연구실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다시 보이네 와"…참사 후 커뮤니티 도배된 글 논란
"헌법재판관, 왜 상의도 없이" 국무회의 반발에…눈시울 붉힌 최상목
전광훈, 무안공항 참사에 "하나님이 사탄에게 허락한 것" 발언
음모설·가짜뉴스, 野 '펌프질'…朴·尹 탄핵 공통·차이점은?
임영웅 "고심 끝 콘서트 진행"…김장훈·이승철·조용필, 공연 취소